집에가고싶다 목록

2025-05-31

구글 블로거 블로그스팟 게시글 삭제 후 복원, '게시'와 '초안으로 돌려놓기' 차이점은?

 여러가지 이유로 구글 블로거 블로그스팟의 게시글을 삭제 할 경우가 생깁니다. 삭제 후 게시글은 일정기간 휴지통으로 옮겨지는데요, 이때 다시 글을 게시하고 싶을 때 '게시'와 '초안으로 돌려놓기' 2가지 옵션이 존재 합니다. 과연 두 옵션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확인해 보겠습니다.


게시

1. "게시"

게시물이 바로 공개 상태로 복원됩니다. 독자나 방문자들이 즉시 볼 수 있게 됩니다. 복원과 동시에 블로그에 다시 나타나고 공개 날짜는 원래 날짜로 유지될 수도 있고, 다시 설정도 가능합니다.

-> 삭제되어 휴지통에 있는 게시물을 방문자에게 바로 볼 수 있게 공개하는 것이 '게시' 입니다.


초안으로 돌려놓기


2. "초안으로 돌려놓기"

복원은 되지만, 게시물 상태는 비공개 초안으로 설정됩니다. 관리자(본인)만 볼 수 있고, 공개 전 수정 가능 상태 입니다.. 원래 글 내용을 편집하고 재게시 할 수 있습니다.

-> 내용을 다시 확인하고 일부 수정한 후 공개하고 싶을때는 '초안으로 돌려놓기'


요약

- 게시 - 공개됨(즉시 노출) 바로 다시 보이게 하고 싶을 때

- 초안으로 돌려놓기 - 비공개(본인만 열람 가능) 수정 후 다시 게시하고 싶을 때


블로그스팟에서 명확한 설명이 없어 포스팅 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래요 *^^*


2025-05-30

[아침밥] 2025.05.30. 맛간장은 사랑입니다.

 냉장고에 반찬이 많습니다.

유리용기 5개를 꺼내 봅니다.

음... 그래 오늘은 비비자.

뚜껑 5개를 열고 하나씩 그릇에 담아봅니다.

먹기 편하게 가위로 조금 자르고, 밥 넣고 맛간장 넣고 쓱~ 쓱~ 비빕니다.

밥은 이렇게 됐고...

반찬을 모두 비벼버려 미니돈가스를 꺼내 옵니다.

그릇 크기에 맞게 4개만요.

케첩도 뿌려주고 아이를 부릅니다.

.

.

.

오늘도 맛있다네요.

역시 맛간장은 최고의 아이템 입니다. ( __)+


비빔밥 미니돈가스

오늘의 메뉴 : 비빔밥(잡곡밥 호박나물 무나물 미나리나물 양배추볶음 시금치나물 맛간장), 미니 돈가스


[저녁밥] 2025.05.28. 토마토를 쓱쓱 쓱 갈아가지고, 그 , 뭐... 어....

 냉장고에 방울토마토 한 상자가 있습니다.

볶음밥을 할 생각은 아니었지만, 오늘 저녁은 볶음밥입니다.

토마토를 씻고 분쇄기에서 쓱쓱 쓱 갈아 볶을 준비를 합니다.

프라이팬에 기름 두르고 파 넣어 파기름 내고

토마토를 넣어 줍니다.

굴소스로 간을 맞추고 밥을 넣고 볶습니다.

반찬도 준비하고 그릇에 담아 식탁에 놓습니다.

이제 아이들을 부르면 되겠습니다.

...

.

...


애들이... 애들이~

맛.있.데.요. *^^*


토마토볶음밥 무나물 호박볶음 양배추볶음

토마토볶음밥 무나물 호박볶음 양배추볶음2

오늘의 메뉴 : 토마토볶음밥, 무나물, 호박볶음, 양배추볶음


웹사이트 도메인 이전 후 구글 색인이 안될 때, 진짜 해결법 5가지

"사이트 도메인 바꿨는데 트래픽이 반토막 났어요..."

많은 운영자들이 웹사이트 이전 후 겪는 공통된 고민입니다. 301 리디렉션도 하고, 콘텐츠도 그대로 가져왔는데도 구글에선 새 사이트를 거의 색인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 실제로 색인 문제를 해결하고 트래픽을 회복한 방법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도메인 변경
---------------------------------------------------------------------------------
1. 301 리디렉션만으론 부족하다 —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점검하세요
2. 콘텐츠, 복사하지 말고 리디자인하세요
3. 구글한테 직접 요청하세요 — "색인 요청"
4. 외부 링크와 SNS, 크롤러 유인 작전
5. 내부 링크도 SEO다 — 링크 구조 재설계
끝맺음
---------------------------------------------------------------------------------

1. 301 리디렉션만으론 부족하다 —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점검하세요

301 리디렉션은 구글에게 “우리 이사했어요”라고 알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설정했다고 끝’은 아닙니다. 다음 항목들을 확인해 보세요.

체인 리디렉션 제거 : A→B→C 대신 A→C로 간단하게!

리디렉션 상태 코드 확인 : 302나 404는 실패, 반드시 301이어야 합니다.

내부 링크 업데이트 : 새 사이트에서 조차 예전 링크를 쓰고 있다면, 구글봇의 제대로 된 검색이 어렵습니다.

도구 추천: Screaming Frog, Redirect Checker


2. 콘텐츠, 복사하지 말고 리디자인하세요

"그냥 이전했을 뿐인데?"

구글은 동일한 콘텐츠를 새 도메인에서 보면 "복사 + 붙여넣기한 저품질 콘텐츠"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콘텐츠도 리디자인이 필요합니다.


제목 & 구조 변경 : 섹션 순서 바꾸기, H태그 최적화

최신 정보 반영 : 2020년 통계는 이제 그만, 2025년 자료로!

중복 콘텐츠 제거 : Copyscape로 중복률 체크해보세요.

오래된 제품 설명이나 이벤트 페이지는 과감히 삭제 또는 리뉴얼하세요.


3. 구글한테 직접 요청하세요 — "색인 요청"

새 페이지를 “그냥 기다리면” 색인될 거라 생각했다면… 구글은 바쁩니다. ( __)+

Google Search Console에서 먼저 사이트맵 제출과 색인 요청을 하세요.


Sitemap 제출 : 새 페이지 포함된 XML 생성 → Search Console 등록

개별 URL 요청 : 색인되지 않은 중요 페이지는 수동으로 ‘색인 요청’

추가 팁 - 50개 URL씩 묶어서 대량 색인 요청하면 효율적입니다.


4. 외부 링크와 SNS, 크롤러 유인 작전

초기 도메인은 신뢰도도 낮고, 백링크도 부족합니다. 그래서 구글은 잘 안 옵니다. 이때는 외부에서 들어 올수 있는 링크나 미끼(?)로 외부 트래픽을 발생시켜야 합니다.

지식in, 다른 블로그나 카페, sns등을 이용 외부에서 내 site로 들어 올 수 있는 수단을 만듭니다.

단, 하루 10개씩 SNS 도배하지 마세요. 구글은 과도한 행동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5. 내부 링크도 SEO다 — 링크 구조 재설계

많은 운영자들이 내부 링크는 “나중에 하자”고 생각하지만, 사실 SEO에서 내부 링크는 순위의 혈관입니다.


홈페이지에 새 콘텐츠 노출 : “최신 콘텐츠” 섹션 만들기

기존 인기 글에서 새 글로 연결 : “이전 후 문제 해결 가이드도 참고해 보세요”

앵커 텍스트 최적화: “여기 클릭” 대신 “사이트 이전 가이드 보기”

체크리스트: 모든 링크가 404나 임시 리디렉션 없이 정확히 연결되는지 확인해보세요.


끝으로.

조급함은 금물, 시간만이 해결해 주는 기다림이 시작,  긴 여정이 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이전은 ‘기술적인 이사’가 아니라 ‘브랜드 리뉴얼’입니다. 구글이 새 사이트를 신뢰하게 만들려면 시간과 정성이 필요합니다.

도메인 변경 작업 후 최소 2~3개월은 기다리세요.

Search Console로 색인 및 오류 로그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주 1회 이상 새로운 콘텐츠를 게시해 활성 site로 유지해 주세요.

구글은 살아 있는, 활동하고있는 사이트를 좋아합니다.

구글은 알아서, 직접, 모든 걸 해주지 않습니다. 나를 찾을 수 있도록 직접 안내해 주셔야 합니다.

이번 도메인 변경으로 새로운 기분, 새 사이트의 시작인냥, 모든 게시물 색인되어 트래픽 상승의 기회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동접 10만 기원해 드립니다. *^^*




2025-05-29

운영중인 블로그(사이트) 도메인 변경 후 검색 색인 감소, 어떻게 해결할까?

운영하던 블로그(사이트) 도메인 변경 후 색인 수 감소 현상, 왜 발생하고 어떻게 대응할까?

구글 색인


 도메인을 변경한 후 초기에 구글서치콘솔 검색 색인 수가 줄어드는 현상은 의외의 일이 아닙니다. 구글은 새로운 도메인에 대해 사이트 구조와 콘텐츠를 다시 파악해야 하므로, 일정 기간 동안 색인이 재구성되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보통 이 기간은 2주에서 4주 정도 소요됩니다. 또는 몇 달이 걸리기도 합니다.

1. 초기 상황 파악

  • 크롤링 시간 필요
    도메인 변경 후에는 구글이 새로운 URL 구조를 인식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짧은 기간 내에 색인 수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2주 이내에 발생)

  • 리디렉션 부족 문제
    기존 도메인의 URL이 새로운 도메인으로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으면, 구글은 해당 페이지들의 가치를 새 도메인에 전달하지 못하고 색인에서 누락될 수 있습니다. (기존 URL과 새 URL 간의 영구 리디렉션 (301 redirect) 을 따라야 함)

2. 구체적인 관리 및 점검 사항

  • Google Search Console 등록과 소유권 확인
    새 도메인을 Search Console에 등록하고 소유권을 확인하는 것이 첫 걸음입니다. 이렇게 해야 구글이 새로운 도메인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크롤링을 시작합니다.

  • 301 리디렉션 설정
    기존 URL에서 새 URL로의 영구적 연결(301 리디렉션)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작업은 기존 페이지의 SEO 가치(링크 가치 등)를 손실 없이 새로운 도메인으로 이전하는 중요한 일 입니다.

  • 사이트맵 제출
    새 도메인에 맞춰 사이트맵 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이를 Search Console에 제출합니다. 이를 통해 구글이 사이트에 있는 모든 페이지를 빠짐없이 파악할 수 있습니다.

  • robots.txt 점검
    robots.txt 파일에서 검색 엔진이 사이트의 중요한 부분을 크롤링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필히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된 설정(예: Disallow: /)은 사이트 전반의 색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수동 색인 요청 및 모니터링
    Search Console의 URL 검사 도구를 사용해 주요 페이지의 색인을 재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동시에, 기존 도메인의 Search Console 데이터를 유지하여 리디렉션 과정을 모니터링하면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추가 관리 팁

  • 콘텐츠 업데이트 및 내부 링크 최적화
    도메인 변경 후에도 꾸준히 콘텐츠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내부 링크 구조를 최적화하면, 구글이 사이트를 재평가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외부 링크(백링크) 관리
    이전 도메인으로 연결된 외부 링크가 있다면, 가능하다면 새 도메인으로의 업데이트를 요청해 보세요. 이를 통해 검색 엔진이 두 도메인 간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문제 발생 시 상세 분석
    만약 2~4주가 지난 이후에도 색인 수가 회복되지 않거나 오류 메시지가 표시된다면, Search Console에 나타난 에러 코드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도메인 변경은 복잡한 작업이긴 하지만, 위의 핵심 사항들을 하나씩 점검한다면 구글 색인 회복 과정도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다만, '조급하게, 바로'는 구글 색인 작업에서 만큼은 참으셔야 합니다. 단순 도메인 변경 또는 새 도메인 연결 작업 이었다면 시간이 해결해 주기 때문입니다. 답답한 소리 같겠지만, 최대 6개월에서 1년까지도 걸릴 수 있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조건이 맞는다면 며칠 내로도 되기도 한답니다. 걱정마세요. 너무 속상해 하지 마시고요. 곧 모든 건 원래대로 돌아올 겁니다. 기운 내세요!!! 대박 블로그, 대박 사이트 되실거에요 *^^*



색인되지 않는 URL - 리디렉션 문제 확인을 위한 유용한 사이트 모음

 리디렉션 오류로 인해 색인이 되지않는 문제를 해결해 보기 위해 리디렉션 관련 사이트와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Redirection error

리디렉션 확인을 위한 유용한 사이트와 정보


* HTTP 상태 코드 확인 - 웹 서버가 특정 URL 요청에 대해 반환하는 상태 코드를 확인하여 리디렉션(301, 302 등) 여부, 오류(404 등), 서버 응답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HTTP 상태 코드

1xx (Informational): 요청이 받아들여졌으며 처리가 계속 진행 중임을 의미한다.
2xx (Successful):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의미한다.
3xx (Redirection): 추가 조치가 필요하며, 클라이언트는 리디렉션을 따라야 함을 의미한다.
4xx (Client Error):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잘못되었거나 처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5xx (Server Error):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HTTP 상태 코드 '301'은 요청한 자원이 새로운 URL로 영구적으로 이동 되었음을 의미
HTTP 상태 코드 '302'는 요청한 자원이 일시적으로 다른 URL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
-------------------------------------------------------------------------------------------------------------

* 리디렉션 경로 추적 - URL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모든 리디렉션 단계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리디렉션 체인이나 잘못된 리디렉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SEO 분석 - 검색 엔진 최적화(SEO) 관점에서 리디렉션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여 검색 엔진 크롤러가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색인하도록 돕습니다.

* 일괄 확인 - 여러 URL의 리디렉션 상태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도 있습니다.


추천 웹사이트 및 도구

 * Sitechecker (https://sitechecker.pro/redirect-checker/ 또는 https://sitechecker.pro/http-status-codes/)

URL 또는 웹사이트 전체의 리디렉션을 확인하고, HTTP 상태 코드를 분석하며, SEO 관련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무료 평가판을 제공합니다.

 

* SE Ranking (https://seranking.com/free-tools/redirect-checker.html)

벌크 리디렉션 검사, 리디렉션 유형 식별, 리디렉션 체인 감지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Redirect Checker (https://redirectchecker.com/)

상세한 리디렉션 경로 추적, HTTP 상태 코드 확인 기능을 제공하며, JavaScript, NGINX, PHP 등 다양한 리디렉션 유형을 분석합니다.


 * WebFX HTTP Status Tool (https://www.webfx.com/tools/http-status-tool/)

HTTP 상태 코드를 빠르게 확인하고, 리디렉션 오류, 클라이언트 오류, 서버 오류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httpstatus.io (https://httpstatus.io/)

최대 100개의 URL을 동시에 확인하고, 리디렉션 체인, 헤더 정보, 응답 시간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IPVoid HTTP Status Code Checker (https://www.ipvoid.com/http-status-code-checker/)

최대 25개의 URL의 HTTP 상태 코드와 리디렉션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EMAVOR FREE HTTP Status Code Checker (https://www.pemavor.com/solution/http-status-code-checker/)

URL의 HTTP 상태 코드뿐만 아니라 리디렉션 정보와 요청 세부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WhereGoes (https://wheregoes.com/)

URL 리디렉션 경로를 상세하게 추적하며, 단축 URL의 최종 목적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 Attrock Redirection Checker (https://attrock.com/redirection-checker/)

웹사이트의 리디렉션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 FindRedirect (https://findredirect.com/)

여러 URL의 리디렉션 체인과 속도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벌크 리디렉션 검사 도구입니다.


이러한 도구들과 웹사이트를 사용하여 자신의 웹사이트의 리디렉션 설정을 확인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 경험과 SEO 성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사용 목적과 필요한 기능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도메인 변경 후 승인 지연? 해결 방법 총정리! 해드립니다.

 애드센스와 함께 오랜기간 운영하던 블로그(사이트)에 새로 도메인을 구입해 연결 하였을 때 애드센스는 다시 신청해야하는지, 또 신청한다면 승인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 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드센스 준비중


오랜기간 운영해 온 블로그(사이트)라면 콘텐츠 양, 접속자등 처음 시작하는 블로그(사이트)보다는 상당한 잇점이 있습니다. 우선 애드센스 신청여부 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도메인, 즉 접속주소가 바뀐다면 애드센스는 다시 신청해야 합니다.

기존의 애드센스 서비스를 받던 곳이었더라도 새로 신청해서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착각(?)을 하게 됩니다.

애드센스도 같이한 오랜 운영한 블로그(사이트)이니까 애드센스는 신청만 하면 그냥 승인 날꺼다.... 라는 착각을요.

하지만, 이건 착각 입니다.

도메인 연결 이후 애드센스 승인 지연은 비교적 흔한 상황입니다. 특히 도메인을 변경하거나 새로 연결하면 구글 측에서 다시 한 번 사이트 전체를 검토하게 되어 승인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이 생각하는 시간보다 휠 씬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기존 운영하던 블로그(사이트)에 새 도메인 연결 후 애드센스 신청 및 승인 지연 이유는?

- 도메인 변경 후 블로그(사이트) 재검토 중 구글은 블로그 주소가 변경되면 새로운 사이트로 간주해 정기적인 검토 절차를 '다시' 진행합니다. 기존 승인 이력이 있더라도 재검토는 필요하게 됩니다.

- 리디렉션 처리 문제 - 기존 운영하던 블로그(사이트)에서 새 도메인으로의 리디렉션이 완전히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검토 시스템이 사이트 접근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 ads.txt 누락 - 애드센스 요구에 따라 ads.txt 파일을 도메인 루트에 설치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 검토 지연 (보통 1~4주) - 최근에는 애드센스 승인 절차가 1~3주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도메인 변경 직후라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긴 시간이 걸립니다. 기존의 주소 색인값과 새주소의 색인값이 중복되어 이를 색인 데이터와 검색엔진 안정화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애드센스는 계속 '준비중' 그래도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리디렉션 확인 - 브라우저에서 기존 블로그(사이트) URL에서 새 도메인으로 잘 이동하는지 확인

* 검색엔진에서도 새 도메인으로 색인이 점차 잡히고 있는지 확인

* ads.txt 이 있는지 확인 ex) https://www.000.com/ads.txt ->이렇게 확인해 보세요.

* 사이트 상태 점검 - 모바일 친화성, HTTPS 보안, 로딩 속도 등이 기준에 맞는지 확인

* Google Search Console에 에러가 없는지, 있다면 해당 내용 확인


요약해 보자면...

1. 도메인 리디렉션 정상 여부

2. ads.txt 파일 설정 확인

3. 서치콘솔에서 사이트맵 제출 및 색인 요청

4. 보통 승인에 1~3주 정도 걸리지만 더 오래 걸리는 경우도 있음.


위의 사항을 모두 준수하셨다면 기다리시기만 하면 됩니다. 괜히 애드센스 신청 취소, 재신청등은 하지 마세요. 그냥 기다리세요. 그냥. 조급해 하지 마시고 길게 보세요. 멋진 블로그(사이트) 운영 하시길 바랍니다. 잘 하실거에요. *^^*




운영중인 블로그(사이트)에 새 도메인 연결 후 검색 최적화, 꼭 챙겨야 할 사항!

 블로그를 운영 중 새 도메인을 구입하여 연결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검색엔진 색인과 새 도메인의 색인에 관해 알려드립니다.

도메인을 새로 구입해서 블로그에 연결하면 기존 블로그 주소는 자동으로 새 도메인 주소로 리디렉션됩니다. 따라서 구글 서치 콘솔에서 예전 주소를 완전히 삭제할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새 도메인 주소를 검색에 잘 노출시키려면 검색엔진에 새 도메인 사이트 등록은 꼭 해야 합니다.


구글서치콘솔


블러그에 도메인 연결 후 해야 할 일

1. 새 도메인을 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

- https://www.000.com 형태로 새 도메인을 등록합니다.

(도메인 속성(000.com)으로 등록하면 www, non-www, http, https 등 전체를 포함해서 추적 가능)

- 사이트맵 제출 (서치콘솔 → 새 도메인 속성 → '사이트맵' 메뉴에서 제출)

- URL 검사 도구로 '주요 페이지' 색인 요청 (하루에 요청할 수 있는 갯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포스팅을 색인 요청하세요)

새 도메인으로 연결된 해당 포스팅 주소를 하나씩 입력하고 "색인 생성 요청" 클릭

- 기존 블로그 주소는 그대로 유지 (삭제금지)


기존의 블로그 주소를 삭제하면 안 되는 이유

기존 블로그 주소에서 새 도메인 주소로 리디렉션이 끊기면 기존 링크 유입이 줄어듭니다.

검색엔진이 리디렉션 경로를 확인하면서 새 주소로 신뢰도를 넘겨줍니다.


참고 - 리디렉션 상태 확인방법

브라우저에서 블로그 예전주소를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새 도메인으로 이동한다면, 리디렉션이 잘 작동 중인 겁니다.

Google도 이 리디렉션을 따라가서 새 도메인에 색인을 점점 넘깁니다. (단, 기간이 걸려요.)


꼭 기억하세요. 예전 주소를 Search Console에서 삭제하면 않됩니다.

구글서치콘솔에서 삭제 요청(‘URL 제거 도구’ 사용)을 하면 리디렉션까지 끊길 위험이 있습니다.

예전 주소를 통해 유입되는 트래픽이 줄어들게 됩니다.


요약해 보자면,

- 새 도메인을 서치콘솔에 꼭 등록합니다.

- 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꼭 제출합니다.

- 기존 블로그 주소는 삭제하지 않습니다.

- 새 도메인주소로 기존 블로그의 주요 페이지를 새 도메인 주소로 색인 요청합니다.


위의 작업들을 하시고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하루 이틀 만에 색인이 되진 않거든요.

적어도 1~2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새 도메인 색인과 검색엔진 안정화에 조급해 하지 마시고 길게 보세요. 멋진 블로그(사이트) 운영 하시길 바랍니다. 잘 하실거에요. *^^*

2025-05-28

이거 팔아 남는 것도 없어~ 자 한번 더...


 

뭐~ 이거 먹고 배가 찬다고... 자 자~ 한번 더...

푸짐한 인심, 배부른 행복! 다시 찾게 되는..... ^^



2025-05-27

27일 부터 빽다방 초특가 할인 행사?! 관심없음? 반등의 시작?

 더본코리아는 5.27 ~ 6.12일 까지 “빽다방 할인 행사”를 시행 한다고 합니다. 가맹점 매출 증대와 상생 지원의 일환으로, 단기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강력한 가격 혜택과 매장주의 지원으로  다가서고 있습니다. 27일 부터 빽다방 할인 행사... 반응이 어떨까요?


빽다방 할인 행사



빽다방 할인 행사


1차 - ‘아샷추(아이스티+에스프레소 샷)’를 1,000원 할인


2차 - 아이스 카페라떼가 원래 할인 2,200원에 1,000원에 제공


3차 - (핫·아이스) 아메리카노를 500원에 판매


한다고 합니다. 1차(5.27~6.2), 2차(6.5~6.7), 3차(6.10~6.12) 행사의 날짜 입니다. 소비자 분들이 직접 날짜 확인 후 구매 하셔야 합니다.

대대적인 할인 혜택은 가맹점에 실질적 지원을 해주고 매출을 견인하려는 의도로 풀이되지만, 보통의 소비자들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더본코리아가 전액 홍보비와 할인 비용을 부담하며 가맹점과의 상생 모델을 구축하려는 점에는 분명 의지가 느껴지지만,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브랜드의 장기적인 가치와 질에 대한 평가는 괜찮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할인된 가격이 너무 훌륭해서 사람들은 많이들 가겠죠?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다고는 들었지만 수많은 가맹주분들은 별다른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선량한, 열심히 하고 계신 가맹주분들 힘내세요. 화이팅~!!!


제네시스 BH 배터리 탈착 DIY - 방전된 배터리 충전까지

  한 동안 차를 사용하지 않아 방전이 되었네요. 아예 시동버튼을 눌러도 반응이 없습니다. 교체 시기는 아닌 것 같아 충전을 해보려고 배터리 탈착을 해 봅니다.


제네시스BH 배터리 탈착 DIY


차량 : 제네시스 BH 380 2009년식

배터리 위치 : 뒷 트렁크 밑 보조석쪽

해체난이도 : 하

필요공구 : 10mm - 단자 / 12mm - 배터리 고정나사 (롱복스)


열쇠구멍

제대로(?) 방전되어 스마트키로 열리질 않습니다. 뒷쪽 번호판 왼쪽 위에 열쇠구멍이 있습니다.
스마트키에서 열쇠를 분리해 열어주면 됩니다.


트렁크 가림판

트렁크를 모두 비우고 가림판을 들어 올립니다. 손잡이가 있으니 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배터리 모습

배터리가 보입니다. 이제 너트 4개만 풀면 배터리가 나옵니다.


마이너스 단자 배터리 고정나사

먼저 마이너스 단자 너트를 풀러 마이너스 선 연결을 끊습니다. 그 다음 배터리 고정너트를 풀어 줍니다.


배터리 고정나사

배터리 고정너트를 푼 모습니다.


가스 배출관

플러스 단자 입니다. 플러스 선 제거 전 배터리 가스배출구의 호스를 번저 분리해 줍니다.


플러스 단자 뭉치

먼저 단자 뭉치 차체 고정 너트를 풀어 줍니다. 이후 플러스 단자 너트를 풀어 배터리에서 탈착 합니다.


배터리out

배터리를 제거한 모습입니다. 가스배출관과 플러스 단자뭉치


배터리out2

배터리 제거 후 전체 모습.

난이도 랄것도 없는 단순 배터리 탈착 diy 였습니다.

다행히 충전기를 걸어보니 배터리는 죽지 않았습니다.
충전시간은 하루 반나절 정도 걸렸고요. 충전기는 noco genius g3500를 사용했습니다.

여러분은 방전 시키지 마세요.
.
.
.
귀찮아요 *^^*

2025-05-26

해변에서 헌팅은 이렇게 하세요.

 


해변 헌팅 포기... 

저건 못 따라하겠다.


딸이 하루종일 아빠한테 삐진 이유

 


자.연.스.러.웠~ 쓰~ *^^*


제21대 대통령선거 2025 재외투표소 마감투표율.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선거
사진출처 - https://www.nec.go.kr/


로컬 표준시각에 따라 마감 되는중

 

오클랜드분관 투표소  83.7%

시드니 투표소 82.3%

브리즈번 투표소 87.1%

 

상하이총영사관 투표소 83.27%

주중국대사관 투표소 82.30 %

선양총영사관 투표소 81.96%

칭다오총영사관 투표소 86.02%

 

말레이시아 투표소 81.7%

라오스 투표소 89.33 %

하노이 투표소 84.3%

필리핀 투표소 77.98%

인도네시아 투표소 83.4%

일본대사관 투표소 82.1%

 

참고 : 20대 대선 재외선거 최종 투표율 71.6%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뽑는 선거에 재외국민 약 26만 4251명이 신고·신청을 했습니다.


-------------------------------------------------------------------


재외투표도 80%를 넘기는데, 국내도 80% 넘겼으면 좋겠습니다.


[아침밥] 2025.05.26. 소화 잘 되라이~ 얍!

 전날 먹은 음식이 안 좋았습니다.

감자탕을 먹었는데 같이 들어있던 감자가 문제였습니다.

혹시나 싶은 마음에 배앓이라도 할까 봐 뭇국을 끓여줬습니다.

오늘은 유독 뽀얀 국물이 잘 우러났네요.

소화 잘되는 뭇국 먹고 오늘 하루도 잘 지내길 바라봅니다.


다시마밥 뭇국 계란말이 두부 숙주

오늘의 메뉴 : 다시마 무 비빔밥(다시마밥 + 뭇국무채 + 단간장), 뭇국, 계란말이, 두부조림, 숙주나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