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4일 목요일

File System : exFAT



exFAT(Extended FAT)이란?

확장 파일 할당 테이블이라 불리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새롭게 개발하여 공개한 파일시스템.
FAT64라고도 하며, FAT32의 취약점이 보완됨.


exFAT 특징

• 가변형 섹터 크기 512~4096 바이트
• 최대 클러스터 크기 32MB
• 하위 디렉터리 256MB
• NTFS의 특징을 갖고 있지만 NTFS보다 낮은 오버헤드
• TexFAT(Transactional exFAT) 호환
• ACL (Access Control List),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 Timestamp 지원
• OEM 파라미터 섹터
• 9섹터 크기의 VBR(Volume Boot Record)영역 / 대용량 부트 프로그램 가능
• 하위 디렉터리 파일 개수 증가 (최대 2,796,202개)


최대볼륨과 파일크기 비교



 FAT12
 FAT16
FAT32 
NTFS 
 UDF
exFAT 
최대볼륨크기
32MB
2GB
2TB
16TB
2TB
128PB
최대파일크기
4GB
4GB
4GB
16EB
16EB
16EB
성능
Low
Low
Low
High
Low
Low
저항력
No
No
No
Yes
No
Yes
객체권한
No
No
No
Yes
No
Yes
파일이름최대길이
255
255
256
256
127Unicode
255Unicode
단위: KB<MB<GB<TB<PB<EB<ZB      


사용 가능한 시스템

• Windows Vista SP1
• Windows XP SP 2 (with updates)
• Windows XP SP 3 (with updates)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CE 6.0• Windows 8

  

사용 가능한 매체

• SD카드
• 마이크로SD카드
• CF카드
• HDD



대략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FAT32의 경우 USB메모리나 SD카드등 소용량에 주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으로(현재 NTFS도 사용중임)
단일파일이 4GB가 넘을 경우 쓰기가 되지 않았으나 exFAT는 FAT32의 확장형으로 단일파일이 4GB이상 저장이 가능해졌으며,
매킨토시HFS+의 파일시스템과의 호환이 가능하여 읽기 쓰기가 가능해졌습니다.(NTFS-매킨토시에서 읽기만가능.쓰기불가)
위의 표와 같이  NTFS와 exFAT가 윈도우체계의 파일시스템을 주도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외장HDD는 대부분NTFS 사용함)



 윈도우 XP에서 exFAT 포맷하는 방법
KB955704 업데이트 패치를 통해 가능합니다.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19364

cidaemon.exe 인덱싱 서비스



cidaemon.exe 인덱싱 서비스

http://support.microsoft.com/kb/899869

Windows XP가 느리게 실행될 수 있고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여러 가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 자료 ID:899869
마지막 검토:2008년 1월 22일 화요일
수정:1.0

현상

Windows XP 기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가 느리게 실행될 수 있고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CPU 사용률이 높다
페이지 파일의 크기가 1.2GB 이상일 수 있다
Cidaemon.exe 프로세스가 페이지 파일 공간과 CPU 시간을 많이 사용한다

원인

컴퓨터에서 인덱싱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덱싱 서비스는 Cidaemon.exe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파일을 인덱싱합니다. Cidaemon.exe 프로세스는 인덱스 카탈로그를 작성하고 업데이트합니다. 일반적으로 Cidaemon.exe 프로세스는 페이지 파일 공간과 CPU 시간을 많이 사용합니다.

해결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인덱싱 서비스를 해제하십시오. 인덱싱 서비스를 해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내 컴퓨터를 두 번 누르고 보기 메뉴에서 탐색 창을 가리킨 다음 검색을 누릅니다.
2.기본 설정 변경을 누르고 인덱싱 서비스 사용 안 함을 누릅니다.
3.아니오, 인덱싱 서비스를 사용 안 합니다.를 누르고 확인을 누릅니다.
본 문서의 정보는 다음의 제품에 적용됩니다.
Microsoft Windows XP Home Edition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Microsoft Windows XP Tablet PC Edition
Microsoft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14년 9월 3일 수요일

임의의 크기의 더미 파일 만들기



임의의 크기의 더미 파일 만들기


간혹 파일 크기가 큰 더미 파일이 필요할 때 만드는 방법

Windows의 경우: (도스창에서 실행)
fsutil file createnew <filename> <size_in_byte>

Linux의 경우:
dd if=/dev/zero of=<filename> <block_size> <count> 

Indexing Service filter daemon



저작권 : 마이크로 소프트
파일 설명 : Indexing Service filter daemon
파일 이름 : cidaemon.exe
파일 위치 : C:\WINDOWS\system32\cidaemon.exe
 
개요
- cidaemon.exe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의 내용 및 속성을 인덱싱하여 빠르게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시스템에 필요한 프로세스로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종료하지 마십시요.
- cidaemon.exe에 의해 발생 할수 있는 문제점( http://support.microsoft.com/kb/899869 )
 Windows XP 기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가 느리게 실행될 수 있고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다음과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CPU 사용률이 높다
  • 페이지 파일의 크기가 1.2GB 이상일 수 있다
  • Cidaemon.exe 프로세스가 페이지 파일 공간과 CPU 시간을 많이 사용한다
- 발생 원인
  컴퓨터에서 인덱싱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덱싱 서비스는 Cidaemon.exe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파일을 인덱싱합니다. Cidaemon.exe 프로세스는 인덱스 카탈로그를 작성하고 업데이트합니다. 일반적으로 Cidaemon.exe 프로세스는 페이지 파일 공간과 CPU 시간을 많이 사용합니다.
 
- 해결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인덱싱 서비스를 해제하십시오. 인덱싱 서비스를 해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 내 컴퓨터를 두 번 누르고 보기 메뉴에서 탐색 창을 가리킨 다음 검색을 누릅니다.
  2. 기본 설정 변경을 누르고 인덱싱 서비스 사용 안 함을 누릅니다.
  3. 아니오, 인덱싱 서비스를 사용 안 합니다.를 누르고 확인을 누릅니다.
본 문서의 정보는 다음의 제품에 적용됩니다.

Microsoft Windows XP Home Edition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Microsoft Windows XP Tablet PC Edition
Microsoft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

또 다른 해결 방법

1. 시작->제어판-> 관리도구-> 서비스 : indexing service 항목 - 속성에서 '수동' 또는 '사용안함' 설정

봉고 프론티어 배터리 고정 볼트 교체



봉고 프론티어 배터리 고정 볼트 교체
차종 : 2003년식 4륜 봉고 프론티어 더블캡
증상 : 녹발생으로 인한 볼트 터짐
수리내역 : CLAMP - BATTERY, PLATE - BATY.SET (자가교체)
부품위치 : 측면 운전석 앞뒤 바퀴 사이 밑
부품번호 :
37160 4E100 (CLAMP - BATTERY), OK59138532 (PLATE - BATY.SET)가격 : 동네 현대기아부품점 - 총 4,000원

볼트 클램프(고정걸쇠) 2개와 배터리셋 플레이트 1개를 교체 합니다.
난이도 하
교체후 사진 입니다.




Classic 영문 MacOS 한글화 방법




Classic 영문 MacOS 한글화 방법 

1. System 8로 시동한 상태에서 'Korea Script 참입력 2.1'을 실행합니다.
시동디스크에 설치하겠다고 할 때 '예' 하시고 설치가 완료되면 'OK' 단추를 누릅니다. 이 때 데스크탑에 world script folder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폴더를 열고 그속에 있는 'korean'이라 이름붙은 script file을 마우스로 끌어다 'system' 가방 file에 넣고 나머지는 휴지통에 버립니다.

2. 다시 'WorldScript?Updater 1.1'을 실행시키면  Easy install에서 알아서 설치하는데 설치가 완료되면 재시동이 됩니다만 재시동해봐도 달라진 건 하나도 없어보입니다.

3. 이번에는 Control Panels에서 Script Switcher를 실행시켜 Script를 Korean으로 변경하고 재시동합니다. 이번에는 재시동하면 화면에 한글이 보입니다.

4. Finder 상태에서 'Edit'메뉴를 당겨내리면 맨 아래에 'Preferences...' 항목이 있고 이를 열면 대화창이 열리고 맨위에 Views의 자형과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박스가 있습니다. AppleMyungjo 9을 시험해 보십시요.

5. 여기서 세종입력이나 아람입력 또는 둘 다를 설치합니다.
기종에 따라서 finder상에서나 New NotePad 또는 Stickies등에서 한글입력 상태가 약간씩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세종과 아람을 골라가며 쓰면 좋습니다.

6. 마지막으로 System 7에서 쓰던 한글폰트들을 옮겨 넣습니다.
먼저 '빛한글(FontExtension(Bitmap).K42) 확장파일을 찾아서 'Extensions' 폴더로 옮깁니다. 그리고 애플명조와 애플고딕은 가급적 트루타입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은데 방금 설치한 것들은 폰트가방과 두개의 탈바가지(12, 24 )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들을 버리기 위해서는 일단 Fonts폴더를 system folder로 부터 desktop으로 끌어낸 후 이를 더블클릭 해서 열고 그 세개의 file을 휴지통에 넣습니다. 그런 다음 새 트루타입폰트가방과 탈바가지(한개, 크기를 정하지 않아서 숫자가 붙어있지 않은)를 끌어 넣습니다. 나머지 한자나 특수문자 관련 자형들도 모두 바꿔 넣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재시동하기전에 데스크탑에 나와 있는 fonts 폴더를 시스템폴더 안으로 원위치 시키는 것을 잊지 마십시요.

Windows XP 부팅시 Num Lock 끄기



Windows XP 부팅시 Num Lock 끄기

-----------------------------------------------------------------
노브북등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Num Lock을 On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 사용하는 Tip 입니다.
-----------------------------------------------------------------

시작 --> 실행 --> regedit로 레시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Keyboard --> InitialKeyboardlndicators 의 값을 0으로 변경

0 --> 부팅후 NumLock off
2 --> 부팅후 NumLock on

그래도 안 바뀌는 경우는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편집->찾기 해서 InitialKeyboardlndicators 항목을
모두 0으로 바꿔주면 된다.


[Win] ipconfig/flushdns - DNS캐시 삭제



실행방법 :
[시작] - [실행] - cmd

명령어 입력창에서 "ipconfig/flushdns" 입력후 엔터

성공시 첨부 이미지의 메세지 출력.


-----------------------------------------------------------

DNS - '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
 

제조사별 Wi-Fi / 무선공유기 암호



제조사별  Wi-Fi / 무선공유기  암호

1. myLGnet, myLG070 : 123456789a , 987654321a ,1234567890 , myLGNetfe07
2. KT_WLAN : 1234567890 , 123456789a , 1234567890c
3. SK텔레콤 : sktelecom
4. 세븐일레븐 : 2127393302
5. Tbroadnet : a123456789 에러 - 신호는 잡혀도 미연결시, MAC 이 원인임 방법
                   http://게이트웨이주소 치면, 관리자 암호 입력에 admin/admin or admin/password 입력.
6. 맥도날드 : 16005252 (매장배달번호)
7. SK : a123456789
8. HellowD (헬로우디) : 534f4b4354
9. Hellowireless : 534f4b4354
10. SO070VOIP : 534f4b4354
11. Egg 택시 : SHOW3382
12. 스타벅스 : 매장별 전화번호 (영수증 참조)
13. iptime (192.168.0.1), anygate(192.168.10.1), zio : 비번 필요없음. 암호설정시, 주인 임의로 그냥 포기.
14. admin : password. Try the
15. LINKSYS 설정(192.168.1.1) : 사용자명은 없고, 암호만 admin
17. 디폴트 Egg 뒷번호는 제품 시리얼 넘버와 일치. 이건 디폴트라면 ssid 뒷자리와 동일.
18. tobis : 1234 17. KWI-BxxxxT(택시) : SHOW3382 , password

WinXP 장치관리자 최적화(청소)



WinXP 장치관리자 최적화(청소)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각종 드라이버의 업데이트나
새로운 장치들의 추가등으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장치 관리자에
그 찌꺼기가 남아 있게 됩니다..

이는 평상시에는 윈도우의 특성상 
'장치 관리자'의 중요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볼수 가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레지스트리나 프로그램의 찌꺼기 파일을 정리하듯이

장치 관리자에서도 중복설치되거나 제거된후 남아 있는  찌꺼기들을
말끔하게 정리 해보록 하겠습니다....

이는 생각 보다 간단한 작업으로 아래의 순서 대로 실행 하면 된다.

1 : 시작 - 실행 - cmd 를 적고 엔터를 쳐 명령프롬프트(윈도우 도스)실행합니다.

2 : 명령 프롬프트 상에서 ' set devmgr_show_nonpresent_devices=1 ' 를 적고
엔터를 칩니다...

3 : 다시 같은 창에서 ' start devmgmt.msc ' 를 적고 엔터를 쳐서 장치관리자를 불러
냅니다...

4 : 출력된 장치 관리자의 상단 탭에서 '보기' - '숨김 장치 표시'를 선택한후
장치 관리자의 각 항목을 클릭하여 펼쳐 보면 

희미하게 회색으로 비활성화된 장치들이 보입니다.  

바로 이 희미하게 회색 처리된 장치들이 이미 제거되었거나 중복된 장치, 혹은
필요없는 장치 들입니다...

5 : 이제 이 회색으로 처리된 장치들을 지우시면 되는데 

이때 절대 주의할점은 
"비 프러그 앤 플레이 드라이버"내에 있는것들은

정확한 개념 파악이 되지 않으면 지우지 말아야 하며(제거하지말것을 권장함)

'사운드 비디오및 게임 컨트롤러'에 포함된 Microsoft 관련 필터 들도 
될수 있으면 지우지 않길 권합니다. 

USB 관련 장치들도 현재 쓰지 않고 있으면 
필요한 장치 드라이버 라도 회색으로 표시 될수 있으니 주의를 요합니다..

*제어판이나 내컴퓨터의 속성에서 찾아 들어가는 장치관리자에선 절대 보이지
않으니 반듯이 위의 과정 대로 실행 해야 합니다.



2014년 9월 2일 화요일

텍스트큐브(textcube)에서 넘치는 트랙백 쉽게 삭제 하기





텍스트큐브(textcube)에서 넘치는 트랙백 쉽게 삭제 하기


설치형 블로그 텍스트큐브(textcube)를 사용하다보면 쓸때없는 트랙백이 많이 쌓이게 된다.

이때 관리자 메뉴 "트랙백 목록"을 1000개까지 늘려 쉽게 삭제하는 방법이다.

텍스트큐브(textcube) 1.8.6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음 경로에서 index.php를 열어 다음 내용을 수정한다.

설치 경로 - /interface/owner/communication/trackback/index.php


"수정할 내용"


for ($i = 10; $i <= 30; $i += 5) {

위의 구문을 찾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for ($i = 10; $i <= 1000; $i += (($i>=30) ? 970:5)) {

위와 같이 수정하면 트랙백 리스트를 한페이지에 1000개까지 뿌릴수 있다.

윈도우7에서 사운드블러스터 사용하기



윈도우7에서 사운드블러스터 사용하기


예전 사운드블러스터 계열 사운드카드는 보통 WinXP까지의 드라이버만 지원 됩니다.

하지만, kX Audio Driver를 설치한다면 윈도우7에서도 사블 계열의 사운드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서 하단의 바로가기 링크로 들어가면 설명과 드라이버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지원 사운드 카드 리스트 입니다.

  • The E-mu Audio Production Studio (APS) card
  • The motherboard models of 10k1 cards (M002, M003 and others)
  • PCI256 (CT4890, CT4891 and CT4893) and PCI512 (CT4820 and SB0150) including OEM model (CT4790)
  • The original Live! (CT4620) and Live! Value cards (CT4670)
  • The Live! X-Gamer, Live! MP3+, Live! Player 1024, Live! Platinum cards (CT4760) and value cards (CT4780)
  • The Live! X-Gamer 5.1, Live! MP3+ 5.1, Live! Player 5.1, Live! Platinum 5.1, Live! Digital Entertainment 5.1 cards (SB0060, SB0100, SB0102, SB0220, SB0222, SB0103 and SB0105) and Value 5.1 (SB0101)
  • The generic and custom OEM Live cards (CT4830, CT4831, CT4832, CT4850, CT4870, CT4871 and CT4872)
  • The Audigy series, including the Audigy MP3+, X-Gamer, Platinum and OEM cards (CT0070, CT0072, SB0090 and SB0092).
  • The Audigy 2 series, including Gamer, Platinum, Platinum eX and OEM cards (SB0242, SB0244, SB0320, SB0240, SB0240P, SB0280).
  • The Audigy 2 ZS series, including Audigy 2 ZS Gamer, Platinum and OEM cards (SB0350).
  • The Audigy 2 ZS Platinum Pro is not fully supported yet. There are issues with the line in ADC.
    24/96 support for the Audigy 2 and Audigy 2 ZS cards is under development.
  • Audigy 2 Value (SB0400), Audigy 2 ZS Notebook (SB0350) and Audigy 4 Pro (SB0380) cards are partially supported.
  • The Dell OEM SB Live! (SB020x) is not yet supported since it uses a custom version of the EMU10k1, whose details are unknown. Experimental support may be provided when more information about it becomes available.
  • Soundblaster Live! 5.1 cards (SB022x) are supported.
  • Soundblaster Live! 24 Bit and Audigy LS are incompatible with kX, since they do not use the 10kX chips.
  • Audigy2 ZS Notebook is supported, although some limitations apply.
  • E-mu E-DSP based PCI devices are supported (0404, 1212, 1820, ...).
  • Extigy is NOT supported and will not be supported.
  • X-Fi is NOT supported and will not be supported.


  •  

    봉고 프론티어 핸들유격 수리


    차종 : 2003년식 4륜 봉고 프론티어 더블캡
    증상 : 2~3cm 핸들 유격 발생
    수리내역 : 조인트 어셈블리-스티어링, 샤프트-인터메드 (자가교체)
    부품위치 : 운전석 하부 (왼쪽 앞바퀴 안쪽)
    부품번호 : 0K72A32860, 0K63B32550
    가격 : 동네 현대기아부품점 - 36,500원


    3개의 볼트가 사용됩니다.
    부품 구입시 볼트도 함께 구입하여 교체 하길 권합니다.
    제가 갔던 부품점엔 볼트 재고가 없어 교체하지 못했습니다.
    볼트(부품번호 : 1123308301)

    교체후 사진 입니다.
     

    교체된 부품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