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10일 목요일

펜티엄4 윌라멧 423소켓 CPU 리스트 & 제원

 Core: Willamette (180 nm); Data width: 32 bit; L1 cache: 8KB data / 12K micro-operations; L2 cache: 256KB; System bus: 400 MHz; Package: OLGA-423

Features: MMX, SSE, SSE2

n.n.ModelsSpec

Core
stepping

Additional description

Vcore

1Pentium 4 - 1,3GHzSL4SF, SL4QD, SL5GC

B2

1.3GHz/256/400/1.7V; SL4SF COSTA RICA; 3044A789-0353; i ©'00; 4046A613

1.7 V

2Pentium 4 - 1,3GHzSL5FW, SL4QD, SL5GCC11.3GHz/256/400/1.75V; SL5FW MALAY; L124A677-0143; i ©'00; M126A1911.75V
3Pentium 4 - 1,4GHzSL4SC, SL4SG, SL4WSB21.4GHz/256/400/1.7V; SL4SC COSTA RICA; 3117A124-0674; i ©'00; 4117A2881.7V
4Pentium 4 - 1,4GHzSL4X2, SL4SG, SL4WSC11.4GHz/256/400/1.75V; SL4X2 MALAY; L117A844-1011; i ©'00; M118B2451.75 V
5Pentium 4 - 1,5GHz SL4SH, SL5TN, SL5SX, SL4TY, SL4X3B21.5GHz/256/400/1.7V; SL4SH MALAY; L104A307-0623; i ©'00; M106A4631.7 V
6Pentium 4 - 1,5GHzSL4WT, SL5TN, SL5SX, SL4TY, SL4X3C11.5GHz/256/400/1.75V; SL4WT COSTA RICA; 3117A226-0159; i ©'001.75 V
7Pentium 4 - 1,6GHzSL4WU, SL4X4, SL5ULC11.6GHz/256/400/1.75V; SL4WU COSTA RICA; 3123A311-1759; i © ' 001.75 V
8Pentium 4 - 1,6GHzSL5VL, SL4X4, SL5ULD01.6GHz/256/400/1.75V; SL5VL MALAY; L152A616-0055; i ©'011.75 V
9Pentium 4 - 1,7GHzSL57W, SL57V, SL5TPC11.7GHz/256/400/1.75V; SL57W COSTA RICA; 3110A268-0109; i ©'001.75 V
10Pentium 4 - 1,7GHzSL5SY, SL57V, SL5TPD01.7GHz/256/400/1.75V; SL5SY COSTA RICA; 3148A121-0562; i ©'011.75 V
11Pentium 4 - 1,8GHzSL5VM, SL4X5, SL4WV, SL5UMD01.8GHz/256/400/1.75V; SL5VM MALAY; L148B299-0160; i ©'011.75V
12Pentium 4 - 1,9GHzSL5VN, SL5WHD01.9GHz/256/400/1.75V; SL5VN MALAY; L130A352-0032; i ©'01; M13066111.75V
13Pentium 4 - 2,0GHzSL5SZ, SL5TQD02.0GHz/256/400/1.75V; SL5SZ COSTA RICA; 3130A791-0048; i ©'011.75V

2022년 3월 7일 월요일

컴퓨터 파워서플라이 커넥터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



-------------------------------------------------------------------


P1 24핀 또는 ATX 24 전원 커넥터는 표준 마더보드 커넥터입니다.
P1 24 핀은 Molex 39-01-2240 커넥터로 만들어집니다.
이 커넥터의 주요 용도는 PCIe 카드에 추가 전원을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전원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4개의 추가 핀은 더 높은 전류 용량을 위한 라인입니다.

.

.

.

24핀 파워 커넥터

이 유형의 커넥터는 PCI Express 슬롯에 추가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4핀 커넥터에는 하나 이상의 전원 와이어가 있습니다.
4개의 추가 핀은 더 높은 전류 용량을 위한 라인입니다.
.
.
.

4핀 커넥터 (4 Pin Molex Power Connector)

이 유형의 커넥터는 주변기기 전원 케이블입니다.
그 사람은 플로피 드라이브와 하드 디스크를 사용했습니다.
이제 추가 팬, 비디오 카드 및 케이스 조명에 사용됩니다.

.
.
.
6핀 AUX 보조전원 커넥터 (6 Pin Auxiliary Power Cable)

보조 눈금은 3.3볼트 및 5볼트용 마더보드에 추가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케이블은 오늘날 사용되지 않습니다. (펜3/펜4 사용 커넥터)
.
.
.

SATA 전원 커넥터 (SATA Power Connector)

SATA 전원 케이블은 ATA 인터페이스를
보다 발전된 디자인으로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유형의 커넥터에는 데이터 및 전원 케이블이 있습니다.
전원 케이블은 기존의 4핀 주변기기 케이블을 대체하고 3.3볼트에 대한 지원을 추가합니다.
.
.
.

 ATX 20핀 메인 전원 커넥터 (ATX 20 Pin Main Power Connector)

1996년 ATX 20핀 전원 커넥터는 마더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표준 케이블이었습니다.
여기에는 5볼트 미만의 전압이 필요한 최신 칩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3.3볼트 레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컴퓨터가 절전 모드일 때 마더보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가 꺼져도 계속 켜져 있는 두 번째 5볼트 레일이 있습니다.
20핀 케이블을 24핀 마더보드에 꽂으면 여전히 작동합니다.
.
.
.


기존 PC 주 전원 커넥터 (Original PC Main Power Connector)

이 전원 커넥터는 1981년에 만들어졌으며
두 개의 케이블만 사용하여 전원 공급 장치를 마더보드에 연결했습니다.
마더보드의 연결부는 서로 옆에 있으므로 나란히 연결됩니다.
이 케이블은 잘못된 방법으로 연결하기가 매우 쉽습니다.
사람들은 검은색을 검은색에 연결하는 것을 기억해야 했습니다.
.
.
.

ATX 20 + 4핀 전원 커넥터 (ATX 20 + 4 Pin Power Connector)

많은 전원 공급 장치에는 20핀 또는 24핀 마더보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20+4핀 케이블이 함께 제공됩니다.
이 케이블은 20핀과 4핀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20핀 마더보드에 20핀 케이블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24핀 마더보드의 경우 20핀과 4핀을 함께 연결합니다.
.
.
.

4 핀 ATX + 12v 전원 커넥터 (4 Pin ATX + 12v Power Connector)

컴퓨터는 3.3볼트와 5볼트에 대부분의 부하를 가하는 데 사용하고
컴퓨터는 12볼트를 점점 더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케이블은 2개의 12볼트 라인을 추가하여 더 많은 부하를 12볼트로 전환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은 CPU와 때로는 마더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
.

8핀 EPS + 12볼트 전원 커넥터 (8 Pin EPS + 12 volt Power Connector)

이 케이블은 여러 CPU에 12볼트를 공급하도록 제작되었습니다.
8핀 12볼트 케이블은 종종 4핀 12볼트 케이블 대신 사용됩니다.
.
.
.

4 + 4핀 + 12볼트 전원 커넥터 (4 + 4 pin + 12 volts Power Connector)

이 유형의 커넥터는 4핀 + 12볼트 커넥터가 있는 마더보드 또는
8핀 + 12볼트 커넥터가 있는 마더보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두 부분으로 제공되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

구형 파워서플라이 (펜3, 펜4 파워 서플라이) 연결 방법

① 1개 - 20PIN Standard ATX Connector(메인보드에 전원공급용)
② 1개 - 4PIN ATX12V Power Connector (Pentium IV 메인보드에 추가 전원 공급용)
③ 1개 - 6PIN AUX Power Connector(메인보드 보조전원 공급용)
④ 1개 - 3PIN Fan Speed Monitor (없는 파워서플라이가 대부분임)
⑤ 6개 - Peripheral Power Connector(CD-ROM,CD RW,DVD,HDD용)
⑥ 2개 - Floppy Drive Power Connector(FDD용)


2022년 3월 4일 금요일

fdisk 사용법 (분할 병합 삭제)

 

FDISK 초기 화면을 띄우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1. 분할영역 또는 논리 DOS 드라이브 지정
  2. 실행영역 지정
  3. 분할영역 또는 논리 DOS 드라이브 삭제
  4. 분할영역 정보표시

  • 기존에 파티션이 잡혀있는 상태에서 파티션을 지우고 다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번을 선택합니다.
3번을 선택하여 나오는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DOS 분할영역 삭제
  2. 확장 DOS 분할영역 삭제
  3. 확장 DOS 분할영역에서 논리 DOS 드라이브 삭제
비 DOS 분할영역 삭제
  • 1번은 2Gb 미만의 HDD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사용하고 있을 때 선택한다.
  • 만약 C,D 드라이브, 또는 그 이상의 드라이브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3번을 선택하여 논리 드라이브를 먼저 삭제한 후 차례로 2번, 1번 순으로 삭제합니다.
  • 4번 비 DOS 분할영역이라고 하는 것은 FAT16 시스템이 아닌 다른 포맷으로 파티션을 분할한 경우 (예를 들어 Windows NT에서 사용하는 NTFS라든지 OSR2 버전의 Windows 95의 FAT32) FDISK는 이 부분을 논리적으로 인식하지 못해 비 DOS 분할영역으로 인식합니다.

  1. 2. 파티션 분할 후 다시 설정할 때에는 FDISK 초기화면에서 1번을 선택합니다.

    1번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1. 기본 DOS 분할영역 지정
    2. 2. 확장 DOS 분할영역 지정
    3. 3. 확장 DOS 분항영역에 논리 DOS 드라이브 지정

  • 먼저 1번을 선택하여 기본 DOS 분할영역을 지정합니다.
  • 만일 HDD의 용량이 2Gb를 넘어서 파티션을 분할하여야 하거나 또는 드라이브를 나누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 1번 선택시 나오는 메시지 "현재의 HDD 전체의 용량을 기본 DOS 분할영역으로 사용하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N"을 선택하고 나누고자 하는 용량을 임의로 지정합니다. (HDD의 용량으로 표시해도되고 %로 표시해도 됨) - 2번을 선택하여 (드라이브 1개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 없음) 확장 DOS를 지정하고 3번을 선택하여 논리 DOS 드라이브를 지정하면 됩니다.
  • 마지막으로 FDISK의 초기 화면에서 2번을 선택하여 실행영역을 C 드라이브로 지정하면 됩니다. -> ESC를 누르면 시스템이 재부팅되고 각각의 드라이브를 포맷하여 사용합니다.
-------------------------------------------------------------------------------------


Fdisk를 이용한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게 되는 과정은 대개 다음과 같다.

공장 출하(Low Lebel Format) → 시스템화(FDISK) → 활성화(Format) → 운영체제 설치..

하드 디스크 초기 출하시에는 Low lebel Format 을 한 상태와 마찬가지의 상태로 있게되고,
이걸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시스템 설계를 해줘야 하는데 이 때 이용하는 방법이
바로 Dos 의 FDISK 명령이다.

요즘은 대개 소매상에서 미리 셋팅과 포맷을 해서 소비자에게 주는데..
소비자 입장에서는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라면 이걸 다시 두세개 정도의 파티션으로 나눠서
사용하면 유용한 점이 많다.

파티션을 나눌 경우 하드의 공간 낭비가 생기기는 하지만, 낭비되는것 보다도 더 큰 효용이
있기 때문에 파티션을 나누게 된다.

그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표준적인 방법이 바로 Dos 의 FDISK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간단히 FDISK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의: FDISK를 할때에는 미리 하드디스크에 있는 모든 자료를 반드시 백업해 두어야 한다)

Ⅰ. FDISK 실행

- 먼저 부팅 디스켓을 (A드라이브에 넣고 컴퓨터를 켭니다.
- A:> 가 나오면 fdisk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그러면 영어로 고용량 하드 디스크를 쓰고 있다면 당신의 하드를 FAT32구조로 만들 겠습니까
< Y/N>?를 물어보는데 여기서 무조건 "Y"를 누릅니다.
- Yes 를 누르면 Choose one of the following: 이라는 말 다음에 fdisk 기본 메뉴가 나옵니다.

[기본 메뉴]
1. Create DOS Partition or Logical DOS Drive
2. Set Active Partition
3. Delete partition or logical dos dirve
4. Display partition information
5. Change current fixed disk drive

[한글화 메뉴]
1. 분할 영역 또는 논리dos 드라이브 지정
2. 실행 영역 지정
3. 분할 영역 또는 논리 DOS 드라이브 삭제
4. 분할 영역 정보 표시
5. 현재 하드 디스크 바꾸기 (- 하드가 2개 이상일때 표시됨)

Ⅱ. 파티션 지우기

- 하드를 새로 구입하신 분은 아래의 "파티션 만들기"를 보시고...
이미 하드를 쓰시고 계셨던 분은 3번 메뉴를 선택해서 기존에 있던 파티션을 지우셔야 합니다.
3번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4 개의 하위 메뉴가 나옵니다.

[③ - 하위 메뉴]
1) Delete Primary DOS Partition
2) Delete Extended DOS Partition
3) Dele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4) Delete Non-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삭제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삭제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서 논리 도스 드라이브 삭제
4) 비 도스 분할 영역 삭제

(설명)
1)은 기본 영역을 지우는 메뉴로, 기존의 하드를 분할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기 전까지는
지워지지않습니다.
만약 그 전에 분할 하지 않고 하드를 하나로 썼다면 여기서 기본 영역을 지우세요.

2)은 처음에 하드를 2부분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는 곳입니다.
여기서 확장 역영을 지우고 나머지 기본 영역은 1)에서 지우시기 바랍니다.

3)은 하드를 2부분 이상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논리드라이브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만약 하드를 3부분으로 나누어서 썼다면 논리드라이브를 여기서 지우시고 다음 확장드라이브는
2)에서 다음 기본 영역은 1) 순으로 지우시기 바랍니다.

4)은 도스외에 다른 운영체제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예: NTFS..)

Ⅲ. 파티션 만들기

기존의 하드 영역을 모두 지웠으니까 새로 다시 영역을 정해줘야합니다.
다시 처음 fdisk 기본메뉴로 돌아가서("ESC" 키를 누르면 돌아간다.) 1번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3개의 하위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① - 하위 메뉴]
1) Create Primary DOS Partition
2) Create Extended DOS Partition
3) Crea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 지정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 지정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 논리 도스드라이브 지정

(설명)
1)은 기본영역을 지정해주는 곳으로 나중에 C 드라이브가 됩니다.
2)은 확장 영역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3)은 하드를 3이상으로 분할할 때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A. 하드디스크가 하나 일때

a. 파티션을 하나로 만들기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하고 싶으시면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fdisk기본 메뉴에서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 1번을 선택하고 , 그러면 위와 같이 세 개의
하위 메뉴가 나타난다. 여기서, 다시 1번을 선택을 하면 파티션을 하나로 쓸것이냐 아니냐
하는 [Y/N]의 선택 항목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Y"를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Y"를 선택을 하게 되면 다시 부팅을 한다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는데
부팅 후 Format을 하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b. 파티션을 두개나 세개 이상으로 만들기

30GB의 하드디스크를 우리는 5GB, 5GB,20GB이렇게 3 개로 분할할 경우..
먼저 파티션을 하나로 나눌 때처럼 일단은 [Y/N]가 나오는 항목까지 가서
이번에는 "Y"가 아니라 "N"를 치면 커서가 밑으로 가면서 30000 라는 숫자와 함께
깜박거리게 됩니다.
이때에 5000 이라고 치고 엔터를 치면 기본 메뉴화면으로 돌아 가게 되는데 다시 1번을
누른 다음에 이번에는 2 번을 누르고 들어가면 남아 있는 용량인25000 이라는 숫자와 함께
커서가 깜박 거리게 됩니다.
이 숫자가 나오면 그냥 엔터를 치게 되면 어떤 메시지와 함께 다시 25000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만일 하드디스크를 두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그냥 엔터를 치면 되고
그렇지 않고 3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다시 5000 이라는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다시 20000 (30000 - 5000+5000 )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하드디스크를 더 분할을 하고 싶다면 다시 20000 보다 적은 숫자를 넣어 주면 되고
끝내고 싶다면 그냥 엔터를 치면 됩니다.

B. 하드디스크가 두 개(여러 개)일 때

하드디스크가 2개나 여러 개일 때도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은 같습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자신이 파티션을 나누고자 하는 하드디스크를 정확하게 선택을
해주어야 합니다. (기본 메뉴의 5번 메뉴 이용) 그리고, 덧붙여서 설치하는 하드 디스크를
파티션 나눌때 용도를 생각해서 기본 도스영역을 만들것인지 아니면 모두 확장 도스영역으로
만들것인지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자료 백업용으로만 쓸거라면 모두 확장 도스 영역으로 만들어도 되지만..
나중 운영체제도 설치할 계획인 경우에는 기본 도스 영역을 지정한 후 확장 도스 영역을
만드셔야 다시 파티션 나누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잇습니다.
그 후에는 하드디스크 하나일 때와 방법은 동일합니다.

Ⅳ. 드라이브 활성화 (Format)

* 파티션 나누는 작업이 다 끝났으면..나눈 파티션을 활성화시켜 줘야 합니다.
- fdisk 기본메뉴로 돌아 오셔서 2) - Set Active Patition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 메뉴는 부팅 영역을 활성화 해주는 곳으로 항상 C 드라이브만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곳을 선택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이런걸 흔히 "텃세 부린다"고 하죠)
- "dos 실행 영역으로 지정하려는 분할 영역의 번호를 입력하시오 ---[ ]" 에
"1" 을 입력하고 엔터..

- 이제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만약 하드가 분할된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fdisk 기본 메뉴에서 4) 를 선택합니다.
다 보셨으면 Esc 키를 눌러 fdisk를 빠져 나갑니다.

- 그런 다음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A드라이브에 부팅디스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 A:> 화면이 나오면 가장 끝 부분 드라이브부터 Format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를 C, D, E로 나누었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세요.
A:>format e:
A:>format d:
A:>format c:
라고 치고 Enter를 치세요.



2022년 3월 3일 목요일

벽시계 소음 잡기

 평소 낮 시간엔 아무런 소음도 느끼질 못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부터 자려고 침대에 누으면 뭔가 거슬리는 소음이 들려왔습니다.

다른 집 안마기 소리인가... 진동 같기도 하고.... 티디디딕~ 같기도 하고...

몇 일을 고생하다 원인을 찾았습니다.

바로 벽시계.

초침이 1초마다 딱~딱~ 멈추는 방식이 아닌

계속 천천히 돌아가는 시계(무소음)라서 전혀 의심조차 하질 않았습니다.

시계를 꺼내 뒷쪽 시계뭉치(무브먼트라고 하더군요)를 보니 전자석으로 움직이는 작은 톱니바퀴들이 소음을 내고 있었습니다.

물론 아주 작은 소리였습니다.

하지만, 층간소음과 마찬가지로 벽면의 석고보드 또한 울림이 대단 하였습니다.

집을 지을 때 2장의 석고보드로 시공을 하면 좋지만, 비용 절감 등의 이유로 한 장만 시공 하는 곳이 많다고 하더군요.

저희 집도 1장만 시공된 곳이었습니다.

뭔가 소음과 진동을 잡아줄 수 있는 것을 찾았습니다.

공구통에 이것 저것 찾아보다 이거면 되겠다 싶은 걸 찾았습니다.

흡음테이프. 

부직포 테이프라고도 부르며, 전선등에 감아 소음과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바로 이것 입니다.



시계를 꺼내어 시공(?) 준비를 합니다.



무브먼트와 시계에 통으로 길게 붙여 주었습니다.


.
.
.
작업을 끝내고 귀를 갖다대어 소리를 들어봅니다.
.
.

별 차이 없는 것 같은.... ^^;;

-----
----
---
--
-


다음 날 아침, 잘 자고 일어났습니다.
밤새 소음의 존재도 잊고 자고 있었습니다.

효과가 있네요.

그동안 고생 했었는데 다행 입니다.







2022년 3월 2일 수요일

bat파일, cmd, powershell등 경로명(폴더명) 공백은 어떻게...


bat파일, cmd, powershell등 경로명(폴더명) 공백이 있을 경우 공백을 인식하지 못한다.

예) C:\Program Files\ 의 경우 C:\Program까지만 인식


방법

cmd의 경우 전체를 따옴표로 처리

"C:\Program Files\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bat, powershell의 경우 Program Files 부분만 따옴표로 처리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모두 사용 가능)

C:\"Program Files"\Google\Chrome\Application\chrome.exe




2022년 2월 26일 토요일

전화모뎀 명령어 list

ATDT 01410


. Modem 명령어의 일반적인 구조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모뎀을 테스트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S레지스터와 그에 따른 명령어
. MNP/V.42/V.42bis 명령어와 그 기능
. 기타 명령어


Content

. Modem 명령어의 일반적인 구조

AT + 명령어 파라미터 + 숫자

모뎀명령을 내릴때는 대소문자의 구분이 없고, 또한 AT 이후에 나오는
스페이스에 대해선 무시하게 된다.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AT
이것은 현재 모뎀이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인가를 알려준다.
즉, DCE와 DTE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AT'를 입력하면
모뎀은 'OK'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보여준다.

ATA
수동응답을 한다(ATD 명령 참조).

* ATB_
통신방식 선택.

ATB0
모뎀을 CCITT(ITU-T)모드로 설정.

ATB1
모뎀을 BELL 모드로 설정.

* ATD_
전화걸기.
구내전화를 사용할 때는 ','나 W를 꼭 사용한다. ex)9W123-4567 or 9,123-4567

ATDP + 전화번호
기계식 전화기에서 사용.

ATDT + 전화번호
전자식 전화기에서 사용.

ATD
이와같이 아무 파라미터를 설정하지 않으면 음성통화를 데이타 통신 상태로
바꾸거나, 전용회선 작동 모드에서 상대국 모뎀을 호출할때 유용하다.
가령 A, B 두사람이 전화로 이야기를 하다가 A는 ATD 명령을 사용하고 B는
ATA라고 입력하면 전화를 끊을 필요없이 음성통화를 데이타 통신상태로 
바뀔수 있다.

* ATM_
스피커 소리 제어.

ATM0
모뎀의 스피커 소리가 안나게 한다.

ATM1
모뎀이 전화를 거는 상태를 직접 귀로 알아보고 싶으면 이와 같이 설정.

ATM2
모뎀 스피커에서 항상 소리가 나도록 한다.

* ATL_
스피커 소리 크기 제어.

ATL0,ALT1,ALT2

* A/
바로 전에 했던 명령을 반복한다.

* +++
연결모드(Online Mode)에서 명령어모드(Command Mode)로 전환한다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 ATO
명령어모드(Command Mode)에서 연결모드(Online Mode)로 전환한다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 ATH_
후크(Hook)라고 하는 것은 전화 스위치이다. 우리가 후크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전화수화기를 내려놓은 것과 같다. 우리가 자국모뎀을 타국모뎀과의 
연결에서 끊으려고 할 때는 우선 '+++'를 입력해서 연결모드를 명령어 모드로 
바꾼후에 ATH0을 입력하면 모뎀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ATH0
모뎀을 ON-HOOK(전화기를 놓은 상태, 전화를 끊은 상태)로 만든다.

ATH1
모뎀을 OFF-HOOK로 만든다.

* ATI_
이 명려어는 모뎀이 어떤 칩을 사용하는가와 제품번호등를 알려주는 명려이다.
하지만 이명령어는 모뎀에 따라서 숫자가 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모뎀 
메뉴얼을 참조하기 바란다.

* ATE
명령어 에코선택

ATE0
입력하는 명령어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음.

ATE1
입력하는 명령어가 화면에 표시됨.

* ATQ_
우리가 가령 'ATL2'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면 모뎀은 이에 관한 명령을
수행하게 되고 수행이 이루어지면 'OK' 메시지를 보내주게 된다. 또한
ATDT로 전화를 걸어서 타국모뎀과 연결이 되면 자국모뎀운 'CONNECT'
라는 메시지를 자신의 DTE에 보내주게 된다. 만약 ATQ0라고 입력하면 
이러한 결과 부호를 보여주지 않게 된다. 아마도 대개의 경우는 ATQ1
일 것이다.

ATQ0
모뎀이 응답을 보냄

ATQ1
모뎀이 응답을 보내지 않음

* ATV_
결과코드 선정

ATV0
모뎀이 숫자 응답을 한다.

ATV1
모뎀이 문자 응답을 한다.( 대부분이 문자응답으로 맞추어져 있다.)

* ATW_
자국모뎀과 타국모뎀과의 교섭(Negotiaion)과정 보여줌.

ATW0
접속시 교섭과정을 보여주지 않는다.
접속 속도는 DTE와 DCE간의 속도.

ATW1
접속시 교섭과정을 보여준다.

ATW2
접속시 교섭과정을 보여주지 않는다.
접속속도는 자국 모뎀과 타국모뎀의 속도.

* ATX_
결과코드 제어

ATX0
모뎀의 결과 코드 중에서 OK, CONNECT, RING, NO CARRIER, ERROR
(결과 코드 0에서 4에 해당)인 기본적인 결과만 제공하도록 한다.

ATX1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결과 코드 0에서 4)와 접속 속도를 제공한다
(예, CONNECT 1200, CONNECT 2400).

ATX2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 접속속도 그리고 DIALTONE( 전화기를 들었을 때
뚜~우~하고 나는 소리)신호를 제공한다.

ATX3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 접속속도 그리고 BUSY(전화를 걸 때 통화중이면
나는 신호) 신호를 제공한다.(구내 전화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으로 맞추어 놓으면 된다.)

ATX4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 접속속도, DIALTONE 신호, BUSY 신호 모두를
제공한다.

* AT&F
모뎀의 모든 파라미터를 공장 출하시 기본 상양으로 다시 부름.

* AT&L_
선로선택

AT&L0
다이얼업 선택

AT&L1
전용선 선택

. 모뎀을 테스트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AT&T_
- Local Digital Loopback Test
- Local Analog Loopback Test
가장 많이 사용, ALB버튼을 누르거나 AT&T1을 입력하면 된다.
즉, 명령어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하는 문자가 화면에 잘 나온다면 모뎀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 Remote Digital Loopback Test
- Remote Analog Loopback Test

AT&T0
모뎀 테스트를 중단함.

AT&T1

AT&T3
Local Digital Loopback Test

AT&T4
타국모뎀이 요청하는 Remote Digital Loopback Test를 허가.

AT&T5
타국모뎀이 요청하는 Remote Analog Loopback Test를 불허.

AT&T6
Remote Digital Loopback Test

AT&T7
Remote Digital Loopback과 자가 진단 테스트를 수행함.

AT&T8
Remote Analog Loopback과 자가 진단 테스트를 수행함.


. S레지스터와 그에 따른 명령어

* ATSr?(r = 해당 S레지스터 번호) : 레지스터값 읽기

* ATSr=n(r = 해당 S 레지스터 번호) (n = 바꾸려는 값)

* 주요 S레지스터 설명

S0 : Auto Answer Ring
모뎀이 알아서 전화를 받게하는 레지스터이다.
가령 S0를 3으로 설정하면 모뎀이 벨이 세번 울린 후에 전화를 받게 된다.
기본값은 0인데 모뎀이 전화를 받지 않도록 한다.

S2 : Escape Code Character
S2는 escape character의 ASCII값에 해당한다. 기본값은 43이고 이것에
해당하는 문자는 '+'이다. 이것은 0에서 255까지의 어떤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127보다 큰 값은 빠져 나오기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고 명령어
모드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한다.

S3 : Carriage Return Character
레지스터 S3은 Carriage Return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13이다.

S4 : Line Feed Character
라인 피드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10이다.

S5 : Backspace Character
백스페이스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8이다.

S6 : Dial Tone Wait Time
레지스터 S6은 Dial 명령어에서 첫번째 숫자를 다이얼하기 전에 얼마나
오랫동안 Off Hook해야 하는지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2초이다.

S7 : Remote Carrier Wait Time
레지스터 S7은 모뎀이 끊어지기 전에 타국 모뎀의 Carrier 신호를 몇초 
동안 기다려야 하는지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45초이다. 모뎀이 지정된
시간안에 Carrier를 검출하면 CONNECT 응답을 보내고 연결 모드로 들어간다.
지정된 시간 안에 Carrier를 검출하지 못하면 NO CARRIER응답을 보내고
다시 명령어모드로 되돌아온다.
참고로 Carrier를 검출했다는 것은 상대방의 고유 주파수(상대측 반송파)를
검출했다는 것을 뜻한다.

S8 : Comma Pause Time
레지스터 S8은 ATDT 명령을 할 때 ','에 대해서 모뎀이 몇초나 기다려야
하는지를 설정하는 레지스터이다. 기본값은 2초이다. 외부로 전화를
걸때 '9'를 누르고 전화해야 하는 학교나 회사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레지스터이다.

S9 : Carrier Detect Response Time
레지스터 S9는 탁국 모뎀을 인식하기 위해서 Carrier가 얼마동안 나타나야
하는지를 지정한다. 가령 작국 모뎀에서 타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려고 하면 S9레지스터의 시간만큼 Carrier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국 모뎀이 탁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려고 할 때 실패하게 된다.

S10 : Carrier Loss Time
타국 모뎀에서 보내 오는 Carrier가 S10레지스터의 값만큼 중단되면 모뎀은
끊어진다.

. MNP/V.42/V.42bis 명령어와 그 기능

* AT\N_
MNP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를 제어한다.

AT\N1
Normal 모드로 연결을 한다. 데이타 버퍼링을 제공한다.

AT\N2
MNP class 2~4의 에러 교정 방식을 사용한다. 상대측 모뎀이 MNP class 2~4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연결을 끊는다.

AT\N3
AT\N2와 같으나 MNP를 지원하지 못하면 Normal 모드로 연결한다.

AT\N4
V.42 에러 교정방식을 사용한다. 상대측 모뎀이 V.42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연결을 끊는다.

AT\N5
V.42에러 교정 방식을 사용한다. 상대측 모뎀이 .42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MNP class 2~4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MNP 기능마저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연결을 끊는다.

AT\N6
AT\N5와 같으나 상대측 모뎀이 V.42, MNP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Normal 모드로 연결한다.

* AT\A_
MNP 사용시 한 블럭의 크기 결정. MNP class3에서는 한 블럭의 크기를
64바이트로 고정시킨다. \A 기능을 이용하면 class 4의 adaptive block 
기능을 이용하여 블럭의 기본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AT\A0
64 byte

AT\A1
128 byte

AT\A2
192 byte

AT\A3
256 byte

* AT\L_
MNP 연결을 스틀림 모드로 할 것인지 블럭 모드로 할 것인지를 조절한다.

AT\L0
스트림 모드

AT\L1
블럭 모드

* AT%C_
데이타 압축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
참고로 압축방식은 에러 수정 프로토콜의 형태에 달려 있다. 에러 정정을
V.42로 하면 압축을 .42bis를 사용하고 에러정정이 MNP class 2~4에 연결되어
있으면 MNP class 5를 사용할 것이다.

AT%C0
데이타 압축을 하지 않는다.

AT%C1
데이타 압축을 한다.

* AT\J_
DTE 자동 등급 조정의 가능/불능 선택

* AT\J
명령은 직력 포트를 통해서 컴퓨터와 데이타를 교환하는 비율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를 모뎀에 지시한다. AT\J0으로 설정하게 되면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의 전송속도와 관계없이 컴퓨터와 모뎀간의 높은 전송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AT\J0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은
14.4bps로 설정이 되어 있더라도 컴퓨터와 모뎀은 57600bps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압축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것이다. 통신 프로그램이
모뎀의 응답을 잘 인식하고 정확한 전송비율로 변경하려고 하면 AT\J1로
설정하면 된다.

AT\J0
DTE 라인 스피드 조정 불능

AT\J1
DTE 라인 스피드 조정 가능


* AT\V_
확장된 응답의 형태

AT\V 명령어는 CONNECT/ MNP/ V.42와 같은 확장된 응답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DCE의 속도를 보고할 것인지 DTE의 속도를 보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AT\V0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지 않고 DCE 속도로 보고한다.

AT\V1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고 DCE 속도로 보고한다.

AT\V2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지 않고 DTE 속도로 보고한다.

AT\V3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고 DTE 속도로 보고한다.

. 기타 명령어

* AT&H
모뎀 명령에 대한 설명을 보여준다.

* AT&V
모뎀이 현재 파라미터 값과 S레지스터값 보기, 현재 모뎀의 파라미터 값이
어떤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S레지스터의 값이 얼마인지를 보려면 이 명령을
이용한다.

* AT&W_
비휘발성 메모리에 ACTIVE PROFILE을 저장

AT&W0
'저장장소 0'에 ACTIVE PROFILE을 저장

AT&W1
'저장장소 1'에 ACTIVE PROFILE을 저장

* ATZ_

ATZ0
'저장 장소 0'에 있는 값을 ACTIVE PROFILE로 설정

ATZ1
'저장 장소 1'에 있는 값을 ACTIVE PROFILE로 설정

* AT&Z_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모뎀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2개에서 
4개까지의 전화번호를 저장할수 있다.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AT&Zn=전화번호 ex)AT&Z0=01410
이다. n은 모뎀이 4개의 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면 0에서 3까지이고, 2개의
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면 0에서 1까지이다.
모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가지고 전화를 걸려면
ATDS=n ex)ATDS=0
로 입력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