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전화모뎀 명령어 list

ATDT 01410


. Modem 명령어의 일반적인 구조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모뎀을 테스트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S레지스터와 그에 따른 명령어
. MNP/V.42/V.42bis 명령어와 그 기능
. 기타 명령어


Content

. Modem 명령어의 일반적인 구조

AT + 명령어 파라미터 + 숫자

모뎀명령을 내릴때는 대소문자의 구분이 없고, 또한 AT 이후에 나오는
스페이스에 대해선 무시하게 된다.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AT
이것은 현재 모뎀이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인가를 알려준다.
즉, DCE와 DTE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AT'를 입력하면
모뎀은 'OK'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보여준다.

ATA
수동응답을 한다(ATD 명령 참조).

* ATB_
통신방식 선택.

ATB0
모뎀을 CCITT(ITU-T)모드로 설정.

ATB1
모뎀을 BELL 모드로 설정.

* ATD_
전화걸기.
구내전화를 사용할 때는 ','나 W를 꼭 사용한다. ex)9W123-4567 or 9,123-4567

ATDP + 전화번호
기계식 전화기에서 사용.

ATDT + 전화번호
전자식 전화기에서 사용.

ATD
이와같이 아무 파라미터를 설정하지 않으면 음성통화를 데이타 통신 상태로
바꾸거나, 전용회선 작동 모드에서 상대국 모뎀을 호출할때 유용하다.
가령 A, B 두사람이 전화로 이야기를 하다가 A는 ATD 명령을 사용하고 B는
ATA라고 입력하면 전화를 끊을 필요없이 음성통화를 데이타 통신상태로 
바뀔수 있다.

* ATM_
스피커 소리 제어.

ATM0
모뎀의 스피커 소리가 안나게 한다.

ATM1
모뎀이 전화를 거는 상태를 직접 귀로 알아보고 싶으면 이와 같이 설정.

ATM2
모뎀 스피커에서 항상 소리가 나도록 한다.

* ATL_
스피커 소리 크기 제어.

ATL0,ALT1,ALT2

* A/
바로 전에 했던 명령을 반복한다.

* +++
연결모드(Online Mode)에서 명령어모드(Command Mode)로 전환한다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 ATO
명령어모드(Command Mode)에서 연결모드(Online Mode)로 전환한다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 ATH_
후크(Hook)라고 하는 것은 전화 스위치이다. 우리가 후크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전화수화기를 내려놓은 것과 같다. 우리가 자국모뎀을 타국모뎀과의 
연결에서 끊으려고 할 때는 우선 '+++'를 입력해서 연결모드를 명령어 모드로 
바꾼후에 ATH0을 입력하면 모뎀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ATH0
모뎀을 ON-HOOK(전화기를 놓은 상태, 전화를 끊은 상태)로 만든다.

ATH1
모뎀을 OFF-HOOK로 만든다.

* ATI_
이 명려어는 모뎀이 어떤 칩을 사용하는가와 제품번호등를 알려주는 명려이다.
하지만 이명령어는 모뎀에 따라서 숫자가 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모뎀 
메뉴얼을 참조하기 바란다.

* ATE
명령어 에코선택

ATE0
입력하는 명령어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음.

ATE1
입력하는 명령어가 화면에 표시됨.

* ATQ_
우리가 가령 'ATL2'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면 모뎀은 이에 관한 명령을
수행하게 되고 수행이 이루어지면 'OK' 메시지를 보내주게 된다. 또한
ATDT로 전화를 걸어서 타국모뎀과 연결이 되면 자국모뎀운 'CONNECT'
라는 메시지를 자신의 DTE에 보내주게 된다. 만약 ATQ0라고 입력하면 
이러한 결과 부호를 보여주지 않게 된다. 아마도 대개의 경우는 ATQ1
일 것이다.

ATQ0
모뎀이 응답을 보냄

ATQ1
모뎀이 응답을 보내지 않음

* ATV_
결과코드 선정

ATV0
모뎀이 숫자 응답을 한다.

ATV1
모뎀이 문자 응답을 한다.( 대부분이 문자응답으로 맞추어져 있다.)

* ATW_
자국모뎀과 타국모뎀과의 교섭(Negotiaion)과정 보여줌.

ATW0
접속시 교섭과정을 보여주지 않는다.
접속 속도는 DTE와 DCE간의 속도.

ATW1
접속시 교섭과정을 보여준다.

ATW2
접속시 교섭과정을 보여주지 않는다.
접속속도는 자국 모뎀과 타국모뎀의 속도.

* ATX_
결과코드 제어

ATX0
모뎀의 결과 코드 중에서 OK, CONNECT, RING, NO CARRIER, ERROR
(결과 코드 0에서 4에 해당)인 기본적인 결과만 제공하도록 한다.

ATX1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결과 코드 0에서 4)와 접속 속도를 제공한다
(예, CONNECT 1200, CONNECT 2400).

ATX2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 접속속도 그리고 DIALTONE( 전화기를 들었을 때
뚜~우~하고 나는 소리)신호를 제공한다.

ATX3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 접속속도 그리고 BUSY(전화를 걸 때 통화중이면
나는 신호) 신호를 제공한다.(구내 전화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으로 맞추어 놓으면 된다.)

ATX4
모뎀의 기본 결과 코드, 접속속도, DIALTONE 신호, BUSY 신호 모두를
제공한다.

* AT&F
모뎀의 모든 파라미터를 공장 출하시 기본 상양으로 다시 부름.

* AT&L_
선로선택

AT&L0
다이얼업 선택

AT&L1
전용선 선택

. 모뎀을 테스트하는 명령어와 그 기능

* AT&T_
- Local Digital Loopback Test
- Local Analog Loopback Test
가장 많이 사용, ALB버튼을 누르거나 AT&T1을 입력하면 된다.
즉, 명령어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하는 문자가 화면에 잘 나온다면 모뎀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 Remote Digital Loopback Test
- Remote Analog Loopback Test

AT&T0
모뎀 테스트를 중단함.

AT&T1

AT&T3
Local Digital Loopback Test

AT&T4
타국모뎀이 요청하는 Remote Digital Loopback Test를 허가.

AT&T5
타국모뎀이 요청하는 Remote Analog Loopback Test를 불허.

AT&T6
Remote Digital Loopback Test

AT&T7
Remote Digital Loopback과 자가 진단 테스트를 수행함.

AT&T8
Remote Analog Loopback과 자가 진단 테스트를 수행함.


. S레지스터와 그에 따른 명령어

* ATSr?(r = 해당 S레지스터 번호) : 레지스터값 읽기

* ATSr=n(r = 해당 S 레지스터 번호) (n = 바꾸려는 값)

* 주요 S레지스터 설명

S0 : Auto Answer Ring
모뎀이 알아서 전화를 받게하는 레지스터이다.
가령 S0를 3으로 설정하면 모뎀이 벨이 세번 울린 후에 전화를 받게 된다.
기본값은 0인데 모뎀이 전화를 받지 않도록 한다.

S2 : Escape Code Character
S2는 escape character의 ASCII값에 해당한다. 기본값은 43이고 이것에
해당하는 문자는 '+'이다. 이것은 0에서 255까지의 어떤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127보다 큰 값은 빠져 나오기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고 명령어
모드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한다.

S3 : Carriage Return Character
레지스터 S3은 Carriage Return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13이다.

S4 : Line Feed Character
라인 피드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10이다.

S5 : Backspace Character
백스페이스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8이다.

S6 : Dial Tone Wait Time
레지스터 S6은 Dial 명령어에서 첫번째 숫자를 다이얼하기 전에 얼마나
오랫동안 Off Hook해야 하는지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2초이다.

S7 : Remote Carrier Wait Time
레지스터 S7은 모뎀이 끊어지기 전에 타국 모뎀의 Carrier 신호를 몇초 
동안 기다려야 하는지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45초이다. 모뎀이 지정된
시간안에 Carrier를 검출하면 CONNECT 응답을 보내고 연결 모드로 들어간다.
지정된 시간 안에 Carrier를 검출하지 못하면 NO CARRIER응답을 보내고
다시 명령어모드로 되돌아온다.
참고로 Carrier를 검출했다는 것은 상대방의 고유 주파수(상대측 반송파)를
검출했다는 것을 뜻한다.

S8 : Comma Pause Time
레지스터 S8은 ATDT 명령을 할 때 ','에 대해서 모뎀이 몇초나 기다려야
하는지를 설정하는 레지스터이다. 기본값은 2초이다. 외부로 전화를
걸때 '9'를 누르고 전화해야 하는 학교나 회사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레지스터이다.

S9 : Carrier Detect Response Time
레지스터 S9는 탁국 모뎀을 인식하기 위해서 Carrier가 얼마동안 나타나야
하는지를 지정한다. 가령 작국 모뎀에서 타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려고 하면 S9레지스터의 시간만큼 Carrier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국 모뎀이 탁국 모뎀이 연결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려고 할 때 실패하게 된다.

S10 : Carrier Loss Time
타국 모뎀에서 보내 오는 Carrier가 S10레지스터의 값만큼 중단되면 모뎀은
끊어진다.

. MNP/V.42/V.42bis 명령어와 그 기능

* AT\N_
MNP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를 제어한다.

AT\N1
Normal 모드로 연결을 한다. 데이타 버퍼링을 제공한다.

AT\N2
MNP class 2~4의 에러 교정 방식을 사용한다. 상대측 모뎀이 MNP class 2~4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연결을 끊는다.

AT\N3
AT\N2와 같으나 MNP를 지원하지 못하면 Normal 모드로 연결한다.

AT\N4
V.42 에러 교정방식을 사용한다. 상대측 모뎀이 V.42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연결을 끊는다.

AT\N5
V.42에러 교정 방식을 사용한다. 상대측 모뎀이 .42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MNP class 2~4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MNP 기능마저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연결을 끊는다.

AT\N6
AT\N5와 같으나 상대측 모뎀이 V.42, MNP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Normal 모드로 연결한다.

* AT\A_
MNP 사용시 한 블럭의 크기 결정. MNP class3에서는 한 블럭의 크기를
64바이트로 고정시킨다. \A 기능을 이용하면 class 4의 adaptive block 
기능을 이용하여 블럭의 기본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AT\A0
64 byte

AT\A1
128 byte

AT\A2
192 byte

AT\A3
256 byte

* AT\L_
MNP 연결을 스틀림 모드로 할 것인지 블럭 모드로 할 것인지를 조절한다.

AT\L0
스트림 모드

AT\L1
블럭 모드

* AT%C_
데이타 압축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
참고로 압축방식은 에러 수정 프로토콜의 형태에 달려 있다. 에러 정정을
V.42로 하면 압축을 .42bis를 사용하고 에러정정이 MNP class 2~4에 연결되어
있으면 MNP class 5를 사용할 것이다.

AT%C0
데이타 압축을 하지 않는다.

AT%C1
데이타 압축을 한다.

* AT\J_
DTE 자동 등급 조정의 가능/불능 선택

* AT\J
명령은 직력 포트를 통해서 컴퓨터와 데이타를 교환하는 비율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를 모뎀에 지시한다. AT\J0으로 설정하게 되면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의 전송속도와 관계없이 컴퓨터와 모뎀간의 높은 전송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AT\J0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자국 모뎀과 타국 모뎀은
14.4bps로 설정이 되어 있더라도 컴퓨터와 모뎀은 57600bps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압축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것이다. 통신 프로그램이
모뎀의 응답을 잘 인식하고 정확한 전송비율로 변경하려고 하면 AT\J1로
설정하면 된다.

AT\J0
DTE 라인 스피드 조정 불능

AT\J1
DTE 라인 스피드 조정 가능


* AT\V_
확장된 응답의 형태

AT\V 명령어는 CONNECT/ MNP/ V.42와 같은 확장된 응답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DCE의 속도를 보고할 것인지 DTE의 속도를 보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AT\V0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지 않고 DCE 속도로 보고한다.

AT\V1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고 DCE 속도로 보고한다.

AT\V2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지 않고 DTE 속도로 보고한다.

AT\V3
명령어의 확장된 응답을 사용하고 DTE 속도로 보고한다.

. 기타 명령어

* AT&H
모뎀 명령에 대한 설명을 보여준다.

* AT&V
모뎀이 현재 파라미터 값과 S레지스터값 보기, 현재 모뎀의 파라미터 값이
어떤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S레지스터의 값이 얼마인지를 보려면 이 명령을
이용한다.

* AT&W_
비휘발성 메모리에 ACTIVE PROFILE을 저장

AT&W0
'저장장소 0'에 ACTIVE PROFILE을 저장

AT&W1
'저장장소 1'에 ACTIVE PROFILE을 저장

* ATZ_

ATZ0
'저장 장소 0'에 있는 값을 ACTIVE PROFILE로 설정

ATZ1
'저장 장소 1'에 있는 값을 ACTIVE PROFILE로 설정

* AT&Z_
비휘발성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모뎀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2개에서 
4개까지의 전화번호를 저장할수 있다.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AT&Zn=전화번호 ex)AT&Z0=01410
이다. n은 모뎀이 4개의 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면 0에서 3까지이고, 2개의
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면 0에서 1까지이다.
모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가지고 전화를 걸려면
ATDS=n ex)ATDS=0
로 입력하면 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m5 빨간 스패너 경고등 '차량정비가 필요합니다' 해제 방법.

 sm5를 운행하다보면 주기적으로 '차량정비가 필요합니다'라는 메세지와 함께  빨간 스패너 등이 점등됩니다. 이건 고장의 의미가 아닌 정비시점이 도래 되었다는 걸 알려주는 메세지 입니다. 해제 방법은 1. 차량 탑승 후 Key-ON 상태로 한다.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 - 카드키만 꼽거나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버튼2번) 2. 우측 와이퍼 메뉴변경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정비가 필요합니다"까지 옮겨준다. 3. 메뉴변경 아랫쪽 버튼을 10초간 누른다. (간혹 위아래버튼 2개를 눌러야 해제 된다는 분들도 있음) 4. 계기판에 '차량정비시점 10000km/8개월'이 나오면 메세지 해제 성공 입니다.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관련링크 : SM5 노바(2015) 브레이크등(데루등) 교체 sm5 노바 번호판등 교체하기

설치조건에 미달되는 구형 PC에 윈도우 11 설치하는 가장 쉬운 방법

 최신 운영체제인 윈도우 11은 보안과 성능을 이유로 TPM 2.0, Secure Boot 등 여러가지 설치 조건을 요구합니다. 이 때문에 많은 구형 PC 사용자들이 업데이트를 할 수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간단한 방법을 통해 설치 조건에 미달되는 구형 PC에서도 윈도우 11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11 설치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께 도움 되길 바랍니다. 윈도우11 설치 ISO 다운받기 Windows 11 ISO 파일 다운로드 방법 1. Microsoft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로 이동합니다. 2. Microsoft 윈도우 11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페이지 하단에 있는 "x64 디바이스용 Windows 11 디스크 이미지(ISO) 다운로드" 란의 "Windows 11(x64 디바이스용 다중 버전 ISO)를 다운로드 합니다. 3. 언어선택 - 한국어 -> 64-bit Download 버튼을 눌러 다운 받습니다. Windows 11 설치 진행 절차 (ISO 파일 이용) 1. 다운로드 완료 후, 해당 ISO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탑재’를 선택합니다. (ISO가 가상의 드라이브로 연결되어 탐색기에서 설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2.탐색기 경로 창에 'cmd'를 입력한 뒤 Enter 키를 누르면, 해당 경로에서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됩니다. 명령 프롬프트에 "setup /product server"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3. 설치 마법사가 열리면, "설치 프로그램에서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는 방법 변경" 링크를 클릭합니다. 이후 "업데이트, 드라이버 및 선택적 기능 받기 (권장)" 대신 "나중에" 옵션을 선택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4. "사용 조건 및 관련 통지" 화면에서는 "동의함"을 선택합니다. 5. "유지할 항목 선택" 단계...

Windows11 키보드 한글 타자 입력 밀림 현상 해결 방법

 윈도우11 환경에서만 League of Legends, Sudden Attack 같은 게임 내 채팅을 할 때 ‘야야야야야야야’라고 입력하면 ‘야ㅑ야ㅑ야ㅑ야ㅑ야ㅑ’ 혹은 ‘양야ㅑ양야ㅑ…’처럼 한글 조합이 의도대로 나타나지 않고 지연·밀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다른 앱에서도 키보드 입력 시 간헐적으로 밀림 현상이 발생 합니다. 윈도우11은 기본 Microsoft IME(입력기)를 업데이트하면서 단어 단위로 띄어쓰기나 지역·언어 정보를 확인한 후 글자를 확정(commit)하는 방식입니다. 게임 클라이언트가 입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전에 IME가 추가 처리를 거치면서 키 입력이 무한 딜레이되거나 조합 상태로 남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해결 방법? 당연히 있겠지요 - ' 이전 버전의 IME '로 되돌리면 됩니다. 윈도우11에서는 설정 한 가지로 예전 윈도우10 방식의 IM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대로 설정을 변경하면 즉시 입력 밀림이 해결됩니다. 윈도우 11 이전 버전의 IME 설정법 ------------------------------------------------------------- 1. 작업표시줄의 윈도우 아이콘 우클릭 → 설정 선택 2. 왼쪽 메뉴에서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클릭 3. 한국어 항목 우측 점 세 개(···) 클릭 → 언어 옵션 진입 4. Microsoft 입력기 우측 점 세 개(···) 클릭 → 키보드 옵션 선택 5. 호환성 섹션에서 이전 버전의 Microsoft IME 토글을 '켬'으로 변경 6. 팝업 안내에 따라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 ------------------------------------------------------------- 위 설정을 적용하면 게임, 채팅뿐 아니라 모든 한글 입력 영역에서 밀림·지연 현상이 해결됩니다. 바로 적용해 보세요. 

SM5 와이퍼 교체시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

 SM5 와이퍼 교체시 와이퍼암이 바로 올라가질 않아 교체를 할 수 없습니다. 요즘 많은 차량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인데요, 이럴 땐 와이퍼를 '서비스 위치'로 옮긴 후 와이퍼를 교체 하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SM5 와이퍼 규격 모델 운전석 길이 조수석 길이 뉴SM5 (Impression) 600mm 450mm 뉴SM5 (2010년형~) 600mm 400mm * SM5 노바 2015식 600/400mm 입니다. 서비스 위치 이동방법 1. 시동 OFF - Key On 상태를 만들어 줍니다. (시동 끈 상태입니다.)  - Key on 만들기 2가지 방법  첫번째, 시동 끈 상태에서 카드키를 꽂아준다. -> Key On (계기판 점등)  두번째, 풋패달 밟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트버튼 1~3초 눌러준다. (계기판 점등) 2. 와이퍼 작동 레버를 가장 밑으로 내려준다. 끝! 이렇게 하면 서비스 위치 즉 와이퍼가 직각으로 세워집니다. 말이 길지 정말 간단합니다. 이제 곧 장마철 입니다. 와이퍼 점검해 보시고 미리미리 교체해서 안전한 빗길운전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안전운전 하세요. 그리고 부~ 자 되세요!!! 관련링크 : sm5 빨간 스패너 경고등 '차량정비가 필요합니다' 해제 방법. SM5 노바(2015) 브레이크등(데루등) 교체 sm5 노바 번호판등 교체하기

SM5 노바(2015) 브레이크등(데루등) 교체

타고 다니는 차량이 SM5 노바 2015 입니다. 10년 세월 못 이기고 브레이크등이 나갔습니다. 자동차 검사도 다가오고 교체를 해봅니다. -------------------------------------------------------------------------------- 차종 : 2015년식 SM5 노바 증상 : 브레이크등 안들어옴 (운전석쪽) 수리내역 : SM5 노바 컴비네이션램프(후미등)(좌/운전석) (자가교체) 부품위치 : 운전석쪽 브레이크등(데루등) 부품이름 : 뉴SM5 노바(2016) 컴비네이션램프(후미등)(좌/운전석) -------------------------------------------------------------------------------- 부품은 지파츠에서 중고로 구입,  가격은 4만원(착불 5000원) 입니다. 자가교체로 공임은 없었습니다. (너무 쉽습니다. 8mm공구만 있으면 끝입니다.) 공구는 8mm 단 하나만 필요 합니다. 3개만 풀면 됩니다. 우선, 교체 전 데루등 사진. 오늘 고생한(?) 공구님들 이중 롱노우즈, 니퍼는 사용하질 않았네요. 8mm 스패너, 플렉시블 기어 라쳇렌치, 스크리퍼 면장갑 만 있어도 됩니다. 스크리퍼는 내장재 고정키 제거 할 때 사용했는데 이건 뭐 개인 취향 입니다. *^^* 내장재 속으로 브레이크등(데루등)을 고정하고 있는 3개의 너트 위치가 보입니다. 내장재 고정키 제거후 내장재를 들어내면 컴비네이션램프를 지지하고 있는 3개의 너트 자리가 나옵니다. 8mm 규격 입니다. 저 3개의 너트만 풀면 데루등을 뒷쪽으로 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녹색 커넥터 분리 후 데루등을 뒷쪽으로 빼고 새로산 부품으로 교체하면 끝입니다. 10년간 고생해준 운전석쪽 컴비네이션램프의 모습니다.  그 동안 고마웠다~ 교체 후 최종 사진~! 브레이크등(데루등) 교체는 정말 쉽니다.  센터에서 교체하면 13~15만원정도 비용이 듭니다.  브레이크등은 직접 할 수 있...

윈도우10 지원 종료 후 저사양 PC 최적 OS 이렇게 선택해 보세요.

 윈도우 10의 지원 종료가 다가오며, 저사양 PC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선택이 필요해졌습니다. 윈도우 10의 지원이 2025년 10월 14일에 종료될 예정이고,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가 Windows 11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대안들이 있습니다. 1. 쓰던 Windows 10을 계속 사용 2. 가상화 또는 듀얼 부팅으로 Linux 시험 운용 3. 단독 Linux 운영체계로 전환 4. Windows Server 2022 또는 2025 전환 5. Chrome OS Flex 설치 6. 중고PC 구입 또는 새 PC로 업그레이드 그런데... 이런 고민 자체가 10을 이제 그만 써야겠단 생각이실 겁니다. 그럼, 1번 Out. 리눅스 듀얼 부팅으로 평소 리눅스 사용, 꼭 윈도우가 필요할 때만 윈도우10 사용. 이것도 좀.... 2번 Out. 단독으로 경량 리눅스로 전환. 게임만 아니라면... 동영상, 유튜브, 음악등의 기본 사용이라면 OK. 윈도우서버 2022 또는 2025로 전환. 계속 써오던 윈도우 환경이라 이질감 없고 생각보다 괜찮음. OK 크롬 OS... 이건 그냥 아님. Out 컴퓨터 업그레이드. 당장 돈 드는건 패스. Out 2가지의 선택지로 좁혀졌습니다. 리눅스 그리고 윈도우서버. 윈도우10 대신 꼭 다른 OS를 선택하신다면 저는 이렇게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리눅스, 윈도우서버를 꼭 한번씩 설치해 보고 직접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리눅스와 윈도우서버 각각의 장단점이 너무도 확실해서 자기의 취향에 따라 선택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제가 이렇게 2가지로 선택지를 좁혀 드렸잖아요 *^^*) ------------------------------------------------------------------------------------ 1. 사양이 낮아 윈도우11이 설치 되지 않는 저사양PC 추천 리눅스 Linux Mint (Cinnamon / MATE / Xfce) Zorin OS Lite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