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 30일 토요일

2018년 무술년(戊戌年) 무료운세 (사주팔자, 토정비결, ,띠별 궁합 자미두수)

 
 
- 신한생명 2018 신토정비결
http://www.shinhanlife.co.kr/pbe/a/PBEA601.jsp

 
- NH농협 2018 정통신년운세
https://nh.sinbiun.co.kr/InSaju.asp?bType=A101

 
- 고산 엄창용 자미두수
http://egosan.com/menu_02_1.html
 

- 무료 토정비결
http://www.yuksul.com/tojung.html
 

- 운신 신년운세
http://www.unsin.co.kr/unse/tojung/total/form?year=2018



- 무료사주사이트, 100%무료 음성사주
http://www.freesajusite.com/sub/tradition4.php



 -----------------------------------------------------------------------------
 

2018 무술년(戊戌年)에는

언제나 좋은 일만, 언제나 좋은 날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
.
.
.
.
.
.
.

재미로 보는 띠별 궁합
 
 

2017년 11월 13일 월요일

IMEI가 unknown일 경우 복구 방법



IMEI가 unknown일경우 fix방법

1.폰의 엔지니어링 모드로 들어간다 전화에서 *#*#3646633#*#*

2.좌측으로 swipe해서 connectivity를 메뉴가 나오게 한다

3.CDS information선택

4.radio information선택 phone1 선택 sim2는 phone2선택

5. sim1의 경우 AT +EGMR=1,7,"기기뒷면의 IMEI번호"
sim2는 AT +EGMR=1,10,"기기뒷면의 IMEI번호"

!!!!주의!!!! AT와 +사이에 스페이스가 하나 있어야 한다. 없으면 userbuild롬이라고 AT코맨드를 보내지 않는다.
이거때문에 이거저거 다 다운받아서 설치하며 보낸 시간만 두시간은 되는듯. ㅠㅠ

추가: 따옴표 꼭 넣으세요.

6.빽눌러서 키보드 없앤 후 send AT command
성공하면 하단에
INFO.

AT COMMAND IS SENT : OK
라고 나옵니다.


7.파워버튼 눌러서 재부팅

쉽게 IMEI확인방법은
전화에서 *#06#

2017년 8월 9일 수요일

구글 애드센스 수익 카카오뱅크로 받는 설정 방법.


애드센스 수익을 은행계좌로 송금받을때 보통의 시중은행 수수료는 1만원 전후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오픈한 카카오뱅크는 건당 5,000원의 수수료를 책정하였네요.

*카카오뱅크 타발송금 수수료 건당 5,000원

구글 애드센스의 새로운 은행 등록은 "설정 - 지급 - 결재 수단 관리 - 결제 수단 추가"에서 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 카카오뱅크로 은행을 등록하려면 SWIFT 은행식별코드와 은행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카카오뱅크의 은행명/BIC 입니다.
---------------------------------------------
은행 이름 : CITIBANK KOREA INC-KAKAO
SWIFT 은행 식별 코드 (BIC) : CITIKRSXKAK
---------------------------------------------

! 새로운 은행 등록후 등록은행하단 설정란의 옵션을 "기본" 바꿔줘야 송금받을 은행이 설정 됩니다.


2017년 8월 7일 월요일

카니발2 2003년식 색상

 

카니발2 2003년식 색상
 
차체색상 - U4 화이트펄(진주펄)
범퍼색상 - D3 실키베이지

2017년 8월 1일 화요일

블루투스 끊김 -윈도우10 블루투스 마우스, 키보드 끊김 해결 방법

블루투스 키보드, 마우스 사용시 끊김 또는 먹통이 되어버릴 때,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해 줍니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 블루투스 장비 사용 시 일정 대기시간이 지나면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는 현상


원인

Bluetooth 장치가 일정 시간동안 유휴상태로 있을 시, Windows에서 배터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끊어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설정을 꺼주면 해결이 가능하다.


해결 방법


  • 방법 1
  1. 장치 관리자를 열어줍니다. (시작 -> 실행 -> compmgmt.msc -> 장치 관리자)
  2. 블루투스 장비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장치 관리자의 Bluetooth 항목에 들어갑니다.
  3. 블루투스 항목 중 자신이 연결한 장비의 속성에 들어갑니다.
  4. 전원 관리 탭(만약 없을 경우 방법 2 참고)에 들어간 후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A)"체크 해제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5. 제어판에서 관리 도구서비스 항목을 실행합니다. (시작 -> 실행 -> services.msc)
  6. "Bluetooth 지원 서비스" 항목의 속성에 들어가 시작 유형(E)자동으로 설정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해줍니다.
----------------------------------------------------------------------------------





  • 방법 2
  1. 장치 관리자를 열어줍니다. (시작 -> 실행 -> compmgmt.msc -> 장치 관리자)
  2. 블루투스 장비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장치 관리자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들어갑니다.
  3. 항목에서 Bluetooth 저에너지 GATT 준수 HID 장치의 속성에 들어갑니다.
    (위와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자신이 사용하는 장치의 프로파일은 이곳에서 확인 할 수있다.)
  4. 전원 관리 탭에 들어간 후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A)"체크 해제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5. 제어판에서 관리 도구서비스 항목을 실행합니다. (시작 -> 실행 -> services.msc)
  6. "Bluetooth 지원 서비스" 항목의 속성에 들어가 시작 유형(E)자동으로 설정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해줍니다.

위와 같이 설정 후 에도 증상이개선 되지 않는다면 장비의 최신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해당 업체의 하드웨어 A/S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2017년 7월 27일 목요일

WinSxS 폴더 정리 (윈도우 용량 줄이기)


WinSxS 폴더 정리


일반적인 질문 중 하나는 일부 디스크 공간을 다시 얻기 위해 WinSxS 폴더를 삭제할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간단한 대답은 아니요입니다.

하지만 WinSxS 폴더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WinSxS 폴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구성 요소 저장소 관리를 참조하세요. 이 항목에서는 실행 중인 Windows 8.1 버전에서 WinSxS 폴더 크기를 줄이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Windows 8.1 및 Windows Server 2012 R2에서는 이 항목에 설명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WinSxS 크기를 자동으로 줄이지만 이러한 방법에는 최신 버전에서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된 구성 요소가 포함된 패키지를 제거하고 삭제하는 등의 내부 프로세스가 포함됩니다. 이전 버전의 일부 구성 요소는 필요한 경우 롤백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동안 시스템에서 유지됩니다. 일정 기간 후에 이러한 구성 요소는 설치에서 제거됩니다.
오프라인 Windows 이미지에서 구성 요소 저장소 크기 줄이기에 설명된 대로 몇 가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Windows 이미지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Warning경고
WinSxS 폴더에서 파일을 삭제하거나 전체 WinSxS 폴더를 삭제하면 시스템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PC가 부팅되지 않고 PC를 업데이트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Windows 8.1 및 Windows Server 2012 R2에서는 패키지 삭제와 구성 요소 압축을 사용하여 WinSxS 폴더를 정리하는 구성 요소 저장소 정리를 시작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

StartComponentCleanup 작업은 Windows 8에서 만들어지고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구성 요소를 정기적으로 정리합니다. 이 작업은 운영 체제에서 트리거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자동으로 실행될 경우 이 작업은 이전 버전의 구성 요소를 제거하기 전에 업데이트된 구성 요소가 설치된 후 30일 이상 대기합니다.
이 작업을 실행하도록 선택하면 작업에 시간 제한 1시간이 제공되며 모든 파일이 완벽하게 정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에서 StartComponentCleanup 작업을 실행하여 구성 요소를 정리 및 압축합니다.

  1. 작업 스케줄러가 열려 있지 않으면 작업 스케줄러를 시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작업 스케줄러 시작을 참조하세요.
  2. 콘솔 트리를 확장하고 Task Scheduler Library\Microsoft\Windows\Servicing\StartComponentCleanup으로 이동합니다.
  3. 선택한 항목에서 실행을 클릭합니다.
note참고
StartComponentCleanup 작업을 명령줄에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schtasks.exe /Run /TN "\Microsoft\Windows\Servicing\StartComponentCleanup"


Dism.exe

DISM(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은 Windows 기능, 패키지, 드라이버 및 국가별 설정을 설치, 제거, 구성 및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Dism.exe/Cleanup-Image 매개 변수는 고급 사용자에게 WinSxS 폴더 크기를 추가로 줄일 수 있는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DISM 운영 체제 패키지 서비스 명령줄 옵션을 참조하세요.

/StartComponentCleanup 매개 변수 사용

  1. 실행 중인 Windows 8.1 버전에서 Dism.exe의 /StartComponentCleanup 매개 변수는 업데이트된 구성 요소의 이전 버전이 즉시 삭제되고(30일 유예 기간 없이) 시간 제한 1시간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 작업 스케줄러에서 StartComponentCleanup 작업을 실행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tartComponentCleanup
    

/ResetBase 스위치를 /StartComponentCleanup 매개 변수와 함께 사용

  1. 실행 중인 Windows 8.1 버전에서 /ResetBase 스위치를 DISM의 /StartComponentCleanup 매개 변수와 함께 사용하면 구성 요소 저장소에 있는 모든 구성 요소의 모든 교체된 버전이 제거됩니다.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tartComponentCleanup /ResetBase
    
    Warning경고
    이 명령이 완료된 후에는 일부 기존 서비스 팩 및 업데이트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이로 인해 이후 서비스 팩 또는 업데이트의 제거가 차단되지 않습니다.

/SPSuperseded 매개 변수 사용

  1. 서비스 팩에 사용되는 공간 크기를 줄이려면 실행 중인 Windows 8.1 버전에서 Dism.exe의 /SPSuperseded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서비스 팩 제거에 필요한 모든 백업 구성 요소를 제거합니다. 서비스 팩은 특정 Windows 버전에 대한 누적 업데이트 모음입니다.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PSuperseded
    
    Warning경고
    이 명령이 완료된 후에는 서비스 팩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디스크 정리

디스크 정리를 사용하여 드라이브에서 필요 없는 파일 수를 줄이면 PC가 더 빨리 실행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임시 파일 및 시스템 파일이 삭제되고, 휴지통이 비워지며,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여러 가지 기타 항목들이 제거됩니다. 업데이트를 정리하는 옵션은 구성 요소 저장소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디스크 정리를 실행하여 시스템 파일 삭제

  1. 시스템 파일을 삭제하려면 디스크 정리를 사용하여 파일 삭제에 제공된 단계를 실행합니다.

출처 -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dn251565.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