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20일 수요일

오복(五福)

오복(五福)
 
五福(오복)은 書經(서경) 周書(주서) 洪範篇(홍범편)에 나오는 문장

五福(오복)은 一曰壽(일왈수)요 二曰富(이왈부)요 三曰康寧(삼왈강녕)이오 四曰攸好德(사왈유호덕)이오
五曰考終命(오왈고종명)이니라. 이 다섯 가지를 말하고 있는 것

첫째는 장수하는 것
둘째는 부유한 것
셋째는 신체가 건강한 것,
넷째는 좋은 德(덕)을 가진것,
다섯째는 일생동안 평안하게 살다가 天命(천명)을 마치는 것

수(壽)는 천수를 누리는 행복이다. 흔히들 이야기는 장수는 120을 아무 병 없이 살아가는 것으로
이 壽(수)야말로 이 오복의 가장 근원적인 것이라 한다.
이 수가 있지 않고는 나머지 네 가지 福(복)을 누리거나 가질 수도 없다.
모든 것이 살아있어야만 되지 죽은 후에는 이루워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고로 옛사람들 말에 "말똥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말은 결코 부유하지 못해도 생명력이 있는 삶이 좋다는 뜻이다.

부(富)는 상당한 저축을 하며 안락한 생활을 하는 것으로 행복을 말한 것이다.
물론 큰부자는 하늘이 낳아야 한다는 말도 있으나 이 大富(대부)는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운명적으로 결정되여 있다고 하지만 어디까지나 후천적인 사람의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졌을 것이지
결코 하늘이 내린 것이 아니다.
자급 自足(자족)으로 평안한 생활을 하며 남을 도울 수 있는 생활이면 이 복이 구비되었다고 하겠다.

康寧(강녕)은 평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신체가 건강하고 무병하여
언제나 깨끗하며 마음에 불안이 없이 즐겁게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흔히 연세가 많아도 건강하며 무병으로 깨끗하게 살고 있는 노부부가
함께 해로하는 것을 볼 수가 있으니 이를 두고 한 것이다.

攸好德(유호덕)은 好德(호덕)을 가지는 것이다.
이 좋은 덕을 가지려면은 자기일생동안 앞일을 계획하여서 덕을 쌓아야 한다.
곧 많은 공부를 해야한다. 고로 이 호덕은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평생을 두고 갈고 닦아야 한다.
예를 들면 성인 또는 현인의 位(위)에 있는 사람이 이 호덕을 가졌다고 하겠다.
물론 五福中 모두가 어렵고 貴重한 것이라고 하나 이 好德(호덕)이 가장 누리고 가지기 어려운 것이다.
우리는 이 好德(호덕)을 가지기에 힘써야 할 것이다.

考終命(고종명)은 일생의 계획을 세워서 자기 명대로 살다가 마치는 것으로
우리는 흔히 자기가 받아온 천명을 살지 못하는 일이 많다.
불의의 사고나 비명으로 생명을 잃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일이 없이 자기가 설계한 일생의 계획 그대로 살다가 최후를 마치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일반 백성들에게서 구전되어온 오복입니다.

1. 치아가 좋은 것
2. 자손이 많은 것
3. 부부가 해로하는 것
4. 손님을 대접할 만한 재산이 있는 것
5. 명당에 묻히는 것

쉽게 생각하고 쉽게 말한 내용들이 들어있는 오복 입니다.
쉬운만큼 가장 어려운 법입니다.

오복... 쉬운 다섯줄의 가장 어려운 문장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