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GSC)에서 사이트를 등록할 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도메인 속성 (Domain Property)과 URL 접두어 속성 (URL Prefix Property) 입니다.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사이트를 등록할 때 ‘도메인 방식’은 ‘URL 접두어 방식’보다 더 넓은 범위를 다룹니다.
도메인 방식은 123.com을 등록하면 모든 하위 도메인(www, m 등)과 프로토콜(http, https)을 한 번에 포함합니다. 따라서 사이트 전체의 색인 상태, 노출, 클릭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반면 URL 접두어 방식은 https://www.example.com/처럼 특정 경로만 관리하므로 다른 버전의 데이터는 별도로 등록해야 합니다. 도메인 속성과 URL 접두어 방식이 다른 이유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도메인 속성 (Domain Property)
예) example.com
등록하면 모든 하위 도메인(www.example.com, m.example.com, blog.example.com 등)과 모든 프로토콜(http://, https://)을 모두 포함합니다.
소유권 확인은 DNS(도메인 네임 서버) 레코드를 통해 해야 합니다.
즉, 한 번 인증하면
https://example.com,
https://www.example.com,
http://example.com/blog/
전부 하나의 속성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2. URL 접두어 속성 (URL Prefix Property)
예) https://www.example.com/
등록한 정확한 URL 경로부터 시작하는 영역만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https://www.example.com/을 등록했다면
포함 - https://www.example.com/page1, https://www.example.com/blog/
미포함 - https://example.com/ (www 없음), http://www.example.com/, m.example.com/
소유권 확인은 HTML 파일 업로드, 태그 삽입, GA 연결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도메인 방식"이 더 강력한 색인 제어를 제공할까요?
이 말은 “검색 색인과 데이터 통합 측면에서 더 완전하다”는 뜻입니다.
| 비교 항목 | 도메인 속성 | URL 접두어 속성 |
|---|---|---|
| 데이터 범위 | 도메인 전체 (모든 하위 도메인 + 프로토콜) | 특정 경로만 |
| 색인 범위 제어 | 사이트 전체 단위로 색인/제외 제어 가능 | 일부 하위 경로만 제어 가능 |
| 보고 데이터 | 모든 버전 통합 (http/https, www/non-www) | 해당 접두어만 |
| 설정의 일관성 | 모든 버전에 동일하게 적용 | 각 버전에 따로 설정해야 함 |
즉, 도메인 속성으로 등록하면 사이트 전체 색인 상태를 통합 관리할 수 있고,
URL 접두어는 일부 경로만 관리할 때 적합합니다.
따라서 구글이 “도메인 방식이 더 강력하다”고 표현하는 이유 입니다.
도메인 방식으로 등록했을 경우
- 색인 누락 방지
Google은 도메인 방식 등록을 통해 사이트 전체를 더 적극적으로 크롤링하고 색인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blogspot처럼 색인 우선순위가 낮은 플랫폼에서는 도메인 방식이 색인 반응을 끌어내는 데 효과적 입니다.
- SEO 최적화에 유리
도메인 방식은 Search Console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완전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URL 접두어 방식은 일부 기능이 제한되거나 누락될 수 있습니다.
예)
예시 사이트 - https://www.123.com/
만약 URL 접두어 방식으로 https://www.123.com/만 등록했다면, https://123.com/(www 없음)은 색인 상태나 성능 데이터를 따로 봐야 합니다.
하지만 도메인 속성으로 123.com을 등록하면, 모든 버전(http/https, www, m, shop 등)이 한 곳에서 관리됩니다.
간단요약
| 구분 | 도메인 속성 | URL 접두어 속성 |
|---|---|---|
| 소유권 확인 | DNS 레코드 필요 | HTML, GA 등 가능 |
| 적용 범위 | 도메인 전체 | 특정 경로 |
| 색인 제어 강도 | 🔥 강력 (전체 포함) | 제한적 |
| 추천 상황 | 전체 사이트 관리 | 부분 사이트나 테스트용 |

댓글
댓글 쓰기